민주, 의원총회 열어 준연동형 유지 의결
제3지대 정당들과 '통합비례정당' 창당도
국힘, '국민의미래' 시도당 발기인 접수 중
더불어민주당이 6일 의원총회를 열어 준연동형 선거제도 유지를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아울러 이재명 당 대표가 제안한 제3지대 주요 정당들과 ‘통합비례정당’도 만들기로 했다. 국민의힘에 이어 민주당도 본격적으로 위성정당 창당 작업에 들어간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가 지난 5일 광주에서 준연동형 선거제 유지와 함께 통합비례정당을 만들겠다고 한 2가지 안을 의총에서 보고했다”며 “의원들이 이 대표와 지도부 결정 사항에 만장일치로 뜻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이어 “22대 총선에서 민주당은 현행 제도인 준연동형을 바탕으로 윤석열 정부 심판에 함께하는 모든 정당, 정치 단체와 뜻을 같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통합형 비례정당 참여 범위 등을 두고는 “구체적으로 특정 지은 건 아니”라면서도 “구체적으로 정당의 형태를 띤 제 정당과 우선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4년 전에는) 다른 제 정당이 빠졌지만 이번에는 제3지대 주요 정당이 함께하는 방향으로 통합비례정당을 구성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일단 제 정당과 연대를 추진하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등이 참여하는 ‘리셋코리아행동’ 등 정치 단체도 폭넓게 수용할 수 있음을 내비친 셈이다.
의석 순번 결정과 배분을 두고는 “협의해서 투명하고 공정하게 결정하겠다”며 “국민이 선택하는 것이기에 투명·공정한 절차를 밟아가며 좋은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에 지혜를 모으겠다”고 말했다. 지역구 후보 등의 단일화 등에 대해서는 “아직은 모든 후보 단일화 등 원칙이나 방침이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지난달 31일 중앙당 200여 명 발기인을 모아 온라인으로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칭)’ 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시도당도 조만간 발기인 접수를 마치고 별도의 발기인대회를 열어 정식 창당할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4년 전 21대 총선에서도 비례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을 창당했었다.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은 당시 소속 의원을 제명하는 방식으로 미래한국당으로 이동시켰다. 현역 의원 숫자가 늘면 투표용지 앞번호를 차지할 수 있고 선거 보조금도 더 받을 수 있어서다. 미래한국당은 이 방식으로 현역의원 20명을 확보해 교섭단체 지위를 획득했고 선거 보조금 55억 원을 받았다.
이번에도 유사한 규모의 현역의원들이 국민의미래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장동혁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현역의원 이동을)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지만 어떻게 할 것인지 논의에는 나아가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