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인권위 긴급구제 신청·진주시장 압박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을 철회하려는 움직임이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환자 퇴원과 전원, 약품 공급 문제와 관련해 국가인권위원회에 긴급구제 신청을 했고, 진주지역 정당·시민사회단체는 경남도가 폐업을 위해 내놓은 조례안 개정을 반대하는 시민 서명서를 받아 도에 전달했다. 포털 '다음'에서 진행한 폐업 철회 서명운동은 최근 일주일 사이 5700여 명이 참여한 사실도 알리고 있다.
보건의료노조와 환자 3명, 환자 가족 5명은 26일 오후 1시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주의료원에서 벌어지는 환자 퇴원과 전원 강요행위 중단과 내과 의사 충원·충분한 약품 공급을 요청하는 긴급 구제 신청서를 냈다.
보건의료노조는 "진주의료원의 정관상 경남도의회의 해산 조례가 없이는 진주의료원을 해산하지 못하게 되어 있어 조례가 제정되기 전까지는 입원환자에게 충분한 진료를 제공할 책임이 있는데도 경남도는 소속 공무원을 동원해 '의사도 나가고 약품도 끊어진다', '전기도 끊기고 환자식도 안 올라올 것이다'라고 협박하며 환자와 가족을 불안에 떨게 하고 퇴원과 전원을 강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인공호흡기 부착이 불가피해 구급차를 통해 이송하면 생명에 위험을 가져올 가능성이 큰 환자, 임종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호스피스 병동의 환자, 거동할 수 없는 환자로서 이송에 지장이 있는 환자에게도 계속해서 퇴원을 강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의료공공성 확보와 진주의료원 폐업철회를 위한 진주시민대책위원회'(이하 진주대책위)가 진주의료원 폐업을 위한 경남도 조례 개정에 반대하는 시민 서명서를 이날 경남도에 전달했다.
진주대책위는 경남도의 진주의료원 폐업 방침 발표 이후 진주지역 정당과 시민사회단체 등 28개 단체로 구성돼 활동 중이다. 조례 개정을 반대하는 시민 서명서는 지난 22일 거리 선전전에서 받은 것과 단체별로 확보한 것으로 모두 4000명분이다. 이들은 이날 오전 성명서 전달에 앞서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홍준표 지사에게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을 철회하고 입원 환자와 보호자에게 전원을 강요하는 등 반인권·반인륜 행위를 중단하며 각계각층이 제안하는 노사민정협의회 구성 제안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했다.
진주시의회 류재수(통합진보당) 의원은 "이창희 진주시장은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을 수수방관할 것인가!"라며 진주시장을 공격했다.
류 의원은 지난 18일 진주시의회 본회의에서 긴급현안 질의로 진주시장에게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 철회를 위해 나서주시길 부탁한다'고 밝혔고, 25일 서면으로 답변했다. 시장의 답변 요지는 '예의주시하면서 사태를 파악하고 있다', '우리 시가 직접 관여할 사항이 아니다', '실무적인 협의는 지속하고 있다', '휴업이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입원환자와 진주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류 의원은 논평을 통해 "이것이 자치단체장인 진주시장이 보일 입장인가? 휴업과 폐업 이후에 발생할 민원에 대한 대책만 고민한다는 것, 결국 휴업에 이은 폐업은 기정사실화하고 경남도에 대해서 진주시는 목소리를 내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는 진주의료원 폐업을 독선적으로 강행하고 있는 홍준표 지사의 입장에 서 있는 것이다. 이창희 진주시장은 진주 시민이 선출했는지, 홍준표 지사가 임명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27일 진주의료원 폐업 반대 투쟁을 위해 도청을 방문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