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해양청, 주민 의견수렴해 높이 등 재검토

마산만 방재언덕 규모가 달라질까.

마산지방해양항만청(이하 해양청)은 지난 18일 방재언덕 최종보고를 끝으로 오는 12월 설치 공사를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인근 상인과 주민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히면서 '재검토'라는 카드를 꺼내 들고 한발 물러섰다.

해양청은 20일 마치기로 했던 기본·실시설계용역을 내달 정도로 연장하고, 지난 18일 최종보고회 자리에서 나왔던 다양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살핀다고 밝혔다. 특히, 4m로 설계됐던 방재언덕 높이를 중점적으로 재검토한다고 했다.

지난 18일 마산구항 인근 상인들과 지역주민들은 조망권 상실로 영업 손실이 발생한다며 방재언덕 높이를 낮춰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해양청 박준권 차장은 "높이를 조정해달라는 주민 의견이 많은 것 같다. 해일을 막을 수 있는 범위에서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겠다"고 약속했다.

제16호 태풍 '산바'가 창원 일대를 할퀴고 지나간 지난 17일 만조시간과 겹쳐 시작된 태풍으로 마산어시장 장어골목 일대에 물이 들어 찬 모습. /경남도민일보 DB

앞으로 설계를 맡은 (주)건화와 (주)세광종합기술단이 방재시설 형식을 검토하는데, 기간은 한 달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해양청이 지난 2003년 태풍 매미 때 마산만 최고 수위 4.32m를 토대로 설계한 방재언덕 높이가 어느 정도 낮춰질지 주목된다. 마산구항은 대체로 1~12m 정도 수심 분포를 보이고 방재언덕이 세워지는 1.25㎞ 구간은 4~5m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앞으로 방재언덕 높이가 달라지면 투명강화벽 비율과 구간별 전체 단면 계획도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마산수산업협동조합이 지적했던 수협 위판장 폭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조합은 방재언덕 설치공사 이후 수협 위판장 폭은 40m에서 20m로 줄어들면 판매 공간이 아주 협소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해양청 항만공사과 관계자는 "수협 위판시설 규모는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를 계산해 설계에 반영한 것이다"며 "구간마다 차이가 나는 해안가 이격거리 조정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내달 방재언덕 설치공사 기본·실시설계용역이 끝나면 해양청은 기획재정부 협의를 거쳐 예산을 받아 착공한다. 총 예산은 507억 4500만 원이며, 실시설계 용역에는 11억 원이 투입됐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