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사천 국회의원 "주가하락 등 저평가…재무부실 기업만 관심" 반발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 민영화가 정치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새누리당 김재경(진주 을), 여상규(사천·남해·하동), 박대출(진주 갑) 의원 등은 7일 KAI 민영화에 대해 "KAI와 유사한 업역을 가진 기업이 정부 지원에 기대 땅 짚고 헤엄치려는 의도로 인수에 참여하는 것은 지역 경제는 물론 항공산업 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하게 나타냈다.
이들은 "주가가 하락하고 있어 제대로 된 평가가 어려운 이 시기에 민영화를 추진하는 것은 민영화의 3대 원칙 중 하나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방침에도 역행하는 것이라 지금 이 시기에 민영화를 추진하는 것은 또 다른 특혜 시비를 낳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과도기에 있는 우리 항공산업을 육성 발전시키려면 그 선두에 있는 KAI가 일사불란한 의사 체계를 갖추고 대규모 투자를 통해 산업 전체를 이끌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경제 상황이 호전돼 KAI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고,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업이 인수 의사를 낼 때까지 민영화 시기를 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의원들은 "현재 정부는 내심 민항기 개발사업 등 민수사업에 투자 의지가 강하고 역량이 있는 기업이 나서주기를 기대하는 눈치였다"며 "의도와는 달리 재무구조가 탄탄한 기업에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재무상황이 그다지 좋지 않은 기업은 끊임없이 관심을 표명해 오고 있어 민영화를 위한 주변환경은 그다지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KAI는 26.4%의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 한국정책금융공사와 지분 10%씩을 보유한 삼성테크윈, 현대자동차, 두산그룹 등이 주주협의회를 구성해 경영하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KAI 민영화를 시도했으나 여론에 밀려 뜻을 이루지 못했고, 지난해 6월 IPO(기업공개)를 통해 KAI를 한국거래소에 상장했다. 이어 지난 4월 'KAI 지분매각 개시'를 선언하면서 다시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 [사설]'불통정부'의 KAI 민영화 고집
- KAI 민영화, 해 넘길 수도 있다
- KAI 매각 임박…민영화 반대운동 급박
- 사천시민 "KAI 민영화 반대" 문화 행사 열어
- 한국노총 경남본부 KAI 민영화 반대 결의대회
- 문재인 고문 "KAI 민영화 부당하다"
- KAI 경영진, 민영화·산청공장 강행할 듯
- 사천 KAI 민영화 반대 물결 확산…반대추진위 구성
- 도의회도 KAI 민영화 반대 결의문 채택
- KAI 민영화, 사천시의회도 반대…반대여론 확산
- KAI 민영화 논란 김두관·한국노총 가세…'대선 쟁점'
- KAI, 흑자 돌아서자 민영화…'MB 뒷거래' 의혹
- 한국노총 경남본부도 "KAI 민영화는 재벌특혜"
- "이해 못할 KAI 민영화…공동대응 하겠다"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안팎으로 '시끌'
- 사천 시민단체 "KAI 민영화 적극 반대"
- KAI노조, "이번 민영화 구상 핵심은 MB맨들"
- KAI 민영화 매각자문사 '크레디트스위스' 선정
- 항공우주산업(KAI) 노조, 민영화에 정면대응
- [사설]MB정부, 부실기업에 KAI 넘겨주려나
- 사천 KAI 민영화·부품공장 문제 확산
- 한국항공우주산업 1차 매각 유찰
- "한국항공우주산업, 수의계약으론 매각 못해"
- 여상규 의원 "KAI 민영화, 대선 악영향"
- KAI 관리자협 "부실기업 대한항공에 지분 매각 반대"
- 'KAI 민영화' 국정감사서도 뜨거운 논쟁
- [사설]의혹투성이 KAI 지분매각 중단해야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