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댐 건설 계획에 대한 논란이 거세다. 특히 문화재청이 댐건설계획 지역에 해당하는 용유담에 대한 국가 문화재 지정을 진행하면서 확산하고 있다. 댐건설 당사자인 수자원공사는 문화재 지정을 반대하나, 환경단체는 지리산댐이 홍수조절용이 아니라 부산 식수댐 건설계획으로 용수 확보를 전제로 한 국내 최대 다목적댐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 간 갈등도 심각하다. 지난 17일 함양군 마천·휴천 주민들과 지리산댐 백지화 대책위원회는 경남도청에서 용유담 국가 명승 지정을 요구했다. 댐건설을 찬성하는 입장인 문정댐 추진위원회와 마천면 이장단협의회 등은 지난 16일 문화재청 앞에서 용유담 명승지정 철회와 지리산댐 건설을 요구했다.
문화재지정을 찬성하는 주민들은 문화재 지정 반대가 지리산댐 건설을 위한 전단계 조치라면 주민설명회나 공청회를 통해 주민 화합을 이끌어내는 게 먼저라고 주장한다. 댐건설이 이루어진다면 안개로 인해 곶감농사가 안되고, 물이 흐르지 않으면 농사가 제대로 될 리 없다며 댐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댐건설을 찬성하는 주민들은 2002년 태풍 루사 때 홍수로 8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매년 가옥·농경지 침수 등 피해가 발생해 홍수조절용으로 지리산댐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용유담은 지리산 여러 계곡에서 흘러내린 물이 만나 형성된 명승지로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지닌 곳이다. 함양군수로 있던 김종직 선생이 용에게 기우제를 지낸 후 지은 시가 전해져 내려오는 역사문화 명승지이기도 하다. 그래서 문화재청도 그 경관유지의 중요성을 인정해 명승지로 지정예고했던 것이다.
정부가 주민 간 갈등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 일방적인 댐건설이 아니라 역사환경, 자연환경을 고려하고, 그 땅에 오랫동안 뿌리내리고 산 주민들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 아름다운 명승지를 보존하는 것은 현재 사람들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후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이 용유담을 명승지로 지정예고한 것은 국가기관이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국민 모두가 공유해야 할 소중한 문화자산으로 인정한 것이다. 또한, 지리산은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으로 지정받고자 하는 여러 움직임도 있다. 따라서 정부는 용유담을 보존해야 한다. 더 이상 주민들 간의 갈등이 지속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