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과정서 쟁점 부각…'남강댐 물'과 함께 재부상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 의평마을 심학성(58) 이장은 "일부 자치단체와 관공서가 지리산댐 때문에 용유담 명승 지정을 반대해 주민들 간 쓸데없는 갈등을 야기한 데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의평마을은 지리산댐 건설 예정지에 포함되는 첫 번째 수몰 대상 마을이다. 이곳에는 30여 가구 100여 명이 산다.
댐 건설 예정지 하류에 있는 휴천면 원기마을 강학기(65) 이장은 "용유담 명승 지정 반대가 지리산댐 건설을 위한 전단계 조치라면 주민 설명회나 공청회를 통해 주민 화합을 이끌어내는 게 먼저"라고 지적했다. 6대째 마을에 산다는 강 이장은 "댐 건설로 안개가 많이 끼면 함양 특산물인 곶감 농사도 안되고, 물이 흐르지 않으면 농사가 제대로 될 리 없어 주민들이 먹고 살 길이 막막하다"고 했다.
17일 오후 2시 함양군 마천·휴천 주민들과 지리산댐 백지화 대책위원회가 경남도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재청은 용유담을 국가 명승으로 지정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댐 건설에 찬성하는 측도 있다. 전날(16일) 문정댐 추진위원회와 마천면 이장단협의회 등은 대전에 있는 문화재청 앞에서 "용유담 명승 지정 철회와 지리산댐 조기 건설"을 요구하는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들 찬성 주민들은 "2002년 태풍 루사때 홍수로 8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을 비롯해 해마다 가옥·농경지 침수 등 피해를 입고 있다"면서 홍수조절용 댐인 지리산댐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명승 주변일대는 보존지역으로 지정돼 각종 규제와 건축행위가 제한되는 등 사유재산권을 침해한다"며 명승 지정에 반대하는 이유를 밝혔다.
![]() |
||
이처럼 지리산댐(문정댐) 건설 계획 논란이 용유담 명승 지정과 맞물려 지역 민심을 갈라놓고 있다. 특히 19대 총선 과정에서 막바지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19대 국회는 물론 대선까지 지역 주요 현안으로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리산댐 용도를 놓고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홍수조절용이 아닌 부산 식수 공급용 다목적 댐"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는 남강댐 물 부산공급 논란에 이은 더 큰 분쟁의 소지를 낳을 수 있다.
남강댐 물 부산 공급 논란은 18대 국회에서 경남·부산지역 핵심 현안이었다. 경남지역 국회의원들을 비롯해 경남도가 공식적으로 반대하고 나서면서 현재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상태이지만, 지리산댐 건설 논란과 함께 재부상할 분위기다.
남강댐 물 부산 공급 논란 당시에는 강기갑(사천)·최구식(진주 갑)·여상규(남해·하동) 의원 등 일부 서부경남지역구 국회의원들만 적극적으로 대응해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번 19대 총선 결과 일부 국회의원들이 바뀌면서 남강댐 물 문제는 물론 지리산댐 건설 논란에 대해 경남 의원들이 어떤 태도를 취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환문 진주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남강댐 물 부산공급 문제는 그동안 지역주민 대다수가 반대해왔기 때문에 19대 의원들도 부정적인 입장에서 크게 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 "지리산댐 문제를 의도적으로 남강댐 문제와 분리하거나 회피해서 정부 입장을 반영할 수도 있겠지만 댐 건설을 적극적으로 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결국 논란을 없애려면 댐이 용수확보용이냐 아니냐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와 수자원공사는 전체적인 댐 건설계획을 공개해 환경단체와 주민·경남도가 면밀하게 검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