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대책위 공동협의체 구성 제안…국민감사 청구는 각하
부산김해경전철시민대책위원회가 경남도와 부산시가 함께 참여하는 '공동 대책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20년 동안 2조 56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부담해야 하는 시점이 시시각각 다가오고 있지만 경남도와 부산시는 여전히 먼 산 불구경 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윤권 도의원(무소속·김해3)을 비롯해 '부산김해경전철시민대책위원회'는 30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와 경남도는 지금보다 좀 더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부산시와 경남도 그리고 김해시뿐만 아니라 전문가와 시민단체까지 참여하는 대책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또한 "적자보전금 지원에 대한 논의뿐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 있는 지분 인수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경전철 개통 이후 승객수는 갈수록 줄어들어 개통 초 3만 1000명에서 최근 한 달 동안에는 2만 7500명으로 감소했다"며 "이 추세대로라면 김해시는 1년에 770억 원에 달하는 재정부담을 져야 한다"고 토로했다.
한편, 장유면행정개편시민대책위가 부산김해경전철 사업에 대한 국민 감사를 청구했으나 각하 결정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대책위에 따르면 감사원 예비조사 담당인 지방건설감사단으로부터 "당해 사무처리가 5년이 경과돼 감사할 수 없어 각하할 수밖에 없고, 물적·인적 한계가 있다"는 유선 통보를 이날 받았다.
단, 전국의 경전철 사업 전반에 대해 감사원에서 5~6월께 감사를 진행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