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거북선' 재발방지 약속… "거짓 홍보, 지도감독 부실"
김두관 지사가 '짝퉁 거북선'에 대해 대도민 사과를 했다.
김 지사는 29일 오후 4시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미리 준비해 온 대도민 사과문을 낭독했다.
김 지사는 "군선원형복원사업 과정에서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도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이 사업에 대한 수사가 종결되는 대로 철저하게 조사해서 관련자에게 엄중한 책임을 묻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 다시는 이런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9일 거북선 복원사업의 위탁기관인 도 개발공사 안승택 사장의 대도민 사과에 이은 것으로, 김 지사의 도청 입성 후 첫 번째 사과문 발표다. 김 지사는 금강송으로 거북선을 만들 수 없는데도 '금강송 거북선'으로 잘못된 홍보를 계속한 점, 수입 목재를 사용했는데도 이를 지도감독하지 못한 점 등을 언급했다.
개발공사 사장의 대도민 사과문 발표에도 다시 지사가 사과문을 발표한 데 대해서는 "(경남도에서) 개발공사에 사전에 사과를 하라고 요구한 적이 없다. 또 거북선 복원사업은 경남도가 자유로울 수 없어서 개발공사 사장의 사과로 도민의 이해를 구할 수 있다고 판단하지 않았다"면서 "최종 감리감독을 해야 하는 도의 책임이 크다고 생각해 언제든 사과하려고 했고, 통영해경의 수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이라 이 시기가 적당하다고 여겼다"고 말했다.
이어 "통영해경에서 (수사 때문에 가져간) 자료가 다시 오면 내부 공무원이 인지하고 묵인했는지를 사후 조사해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
이미 건조된 거북선과 판옥선의 처리에 대해서는 "시공사가 채무불이행과 불법행위를 한 것이므로 계약해제를 통지한 후에 재산 가압류, 선박에 대한 유치권 행사를 하고서 손해배상에 대한 민사소송 등으로 대처하겠다"면서 "거북선과 판옥선을 불태워버리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대다수 의견은 고증위원회의 수십 차례 고증을 거쳐 제작된 최초 3층 구조 군선이므로 이번 사건을 알리는 안내문을 부착한다 하더라도 역사교육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김 지사의 사과문 발표는 지사의 의지로, 일부 간부는 이를 말렸으나 이날 오전 동아대 박사학위 수여식에 참가하기 직전 지사가 전격적으로 결정했다.
한편, 이번에 문제가 된 '1592년 군선원형복원사업'은 '이순신 프로젝트'의 하나로 지난 2008년 1월 경남도와 통영·거제시가 공동으로 개발공사를 대행기관으로 지정, 2011년까지 40억 원을 들여 거북선 1척과 판옥선 1척을 건조하는 내용이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