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창원공장 퇴직자 자살…파업 후 14명 목숨끊어극심한 생활고·우울증에 사건 잇따를 듯…대책 절실

정리해고와 희망퇴직, 무급휴직 등으로 쫓겨난 노동자들이 잇따라 숨지고 있다. 이후 극심한 생활고 등을 이겨내지 못하고 세상을 등지고 있는 것이다. '해고는 살인'이라는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닌 것이다.  

◇죽음으로 내모는 정리해고 = 2월 28일 숨진 채 발견된 조모(37) 씨도 쌍용차 창원 공장에서 희망퇴직한 이후 생활고를 겪어 왔다. 조 씨는 희망퇴직 이후 조선소 협력업체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했다.

조 씨가 발견되기 이틀 전인 26일에도 쌍용차 무급휴직 조합원 임모(44) 씨가 경기도 평택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안타깝게 임 씨의 아내도 남편의 정리해고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우울증에 시달리다 앞서 2010년 4월 목숨을 끊었다. 2009년 7월에는 쌍용차 창원공장 ㄱ(32) 씨도 희망퇴직 후 경제적 어려움을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는 "조 씨가 숨진 것은 사회적 타살이자 쌍용자동차 사측의 타살이다.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며 "1년 후 복직이라는 사회적 합의(2009년 8월 6일)에도 자꾸 미루는 사측이 이번 사망의 원흉이자 배후다. 더 이상의 죽음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창원지회 관계자는 1일 "희망퇴직자들이 시간이 지나면 안정을 찾아야 하는데, 생활고와 우울증 등으로 더 힘들어한다. 이런 사태가 계속되는데, 2009년 파업 이전 체불임금과 정리해고에 관한 대책위가 꾸려졌듯 다시 대책위를 통해 사람들에게 알리고 재발 방지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병하 민주노동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앞으로 같은 일이 안 생긴다는 보장이 없다"며 "시민사회에서 대책위를 구성해 방법을 찾아야 한다. 장례만 치르고 그냥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최소한 대안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2009년 5월 쌍용차 파업 이후 고발과 손해배상, 생계 곤란 등으로 지금까지 노동자와 가족 등 14명이 목숨을 잃었다. 파업 이후 현재까지 3000명 넘게 일터에서 쫓겨났으며, 창원지회만 해도 해고와 징계해고 19명과 4명씩, 무급휴직도 58명이다.

◇쌍용차·대림차는 '주홍글씨' = 쌍용차 창원지회 유세종 지회장은 "쌍용차 출신이라면 받아주지 않아 대부분이 아는 사람을 통하거나 출신을 속여 비정규직으로 취직한다"고 말했다.

2009년 11월 정리해고(12명)와 희망퇴직(209명) 등으로 쫓겨난 대림자동차 노동자들도 같은 처지다. 지난해 10월에는 대림차 희망퇴직자 ㄴ(50) 씨가 창원시 마산회원구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ㄴ 씨는 3~4년 전부터 불면증에 시달리다 2009년 11월 희망퇴직 이후 우울증까지 겹쳤다. ㄴ 씨는 희망퇴직 이후 이에 앞서 4~5회 자살을 시도했다가 가족의 만류에 부딪혔다. ㄴ 씨는 "미안합니다. 책임을 다하지 못해서"라는 유서를 남겼다.

이경수 대림차 해고자 복직투쟁위 의장은 이날 "쌍용차와 마찬가지로 취직하고 싶어도 대림차 출신이라면 받아주지 않는다. 개인 문제가 아니다"며 "18개월치 임금 지급과 사내 하청업체 (비정규직) 취업 알선하되 향후 2년간 현재 임금 유지를 조건으로 희망퇴직한 50대 초반 조합원들도 계약 만료 이후 어떻게 살아갈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 차원 진상 규명과 사회 전체 관심 필요 = 조태일 민주노총 경남본부 정책국장은 "기업이 최소한의 사회적 책임으로 합의에 따른 무급휴직자의 복직 약속이 즉각 이행돼야 한다"면서 "자치단체도 해고자와 희망퇴직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프로그램과 재취업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리해고가 갈수록 일상화되고 있기 때문에 '해고' 문제를 해당 사업장의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이들을 사회적·제도적으로 어떻게 품을지 고민해야 한다"면서 "국회 차원 진상 규명을 통해 제도적으로 보완할 부분과 해고자들 지원 대책들을 짚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