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무역관리원 "용도 변경 가능하면 터 일부 매입"
마산 가포신항의 용도를 변경하자는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을 중심으로 '제2자유무역지역'으로 조성하자는 대안이 제시됐다.
이는 가포신항을 다른 용도로 전환했을 때,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여러 제안 중 경제성은 물론 실현 가능성도 어느 정도 갖춘 것이어서 주목된다.
최원도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원장은 가포신항 용도 변경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밝혔다.
최 원장은 "현재 제2자유무역지역을 조성하고자 창원 창포와 진동지역을 알아보고 있다. 그런데 만일 가포신항에 조성할 수 있다면 새로운 자유무역지역 후보지 1순위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의 제2자유무역지역 조성 준비는 상당히 구체적이다. 우선 가포신항의 용도 변경이 가능하면 산업단지로 조성하자고 제안하고 이후 터 일부를 사들일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최 원장은 "자체적으로 알아본 결과 항만 쪽 부지는 지가가 3.3㎡당 300만 원이 넘어 국비 예산을 지원받기 어렵지만, 항만 배후지역은 3.3㎡당 100여만 원으로 추정돼 가능하다"고 말했다.
제2자유무역지역 조성은 국비 75%, 지방비 25%로 이뤄지는데, 조성 지가가 150만 원이 넘어가면 예산 지원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최 원장은 입주를 희망하는 30여 개 회사가 들어서면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을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 원장은 지금이 내년부터 2015년까지 계획되어 있는 제2자유무역지역 조성사업이 급물살을 탈 기회라고 덧붙였다.
김정간 마산자유무역지역기업협회 회장은 "최근 마산에 입주를 희망하는 상당수 외국기업을 전남 순천 율촌과 인천으로 보냈다"며 "마산은 도내 다른 지역보다 산업단지 등 공업용지가 부족하다. 성장 잠재력을 개발하는데 한계를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 조성할 자유무역지역은 마산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효율적인데, 가포지역은 물류와 인력 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제안은 최근 마산상공회의소가 내놓은 가포신항의 활용 방안과도 들어맞아 오는 20일 3·15 아트센터에서 열리는 '통합 창원시 도시발전 토론회'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마산상의 관계자는 "가포신항의 존재 이유는 마산지역 경제발전이다. 만일, 자유무역지역으로 조성한다면 일자리 창출은 물론 그 경제 효과는 상당할 것이다"며 "항만 배후지역만으로는 자유무역지역이 협소할 수 있다. 만일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이나 난항을 겪는 가포·현동 임대주택지구를 국가산업단지로 조성한다면 이런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안홍준·이주영 의원, 마산 가포신항 해법 머리 맞댄다
- 임경숙 도의원 "가포신항 용도변경, 도가 나서야"
-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 새로운 변수
- [사설] 마산만 매립, 이제 그쳐야
- '가포신항 용도변경' 시민이 나섰다
- " 마산만 매립 더는 안 돼"
- "마산만 매립 더는 안돼"
- [사설] 가포신항만 용도변경 어렵다니
- "마산 가포신항만 용도변경 어렵다"
- "해양신도시 TF 시민위원 참여 보장하라"
- [사설] 가포신항 용도 변경해야
- "해양신도시 사업 하지말자"
- [사설] 창원시의 대형사업 재조정을 환영하며
- 창원시, 100억 원 이상 대형사업 11개 조정
- 마산해양신도시 '폐기 또는 축소 매립'
- 창원 제2자유무역지역 조성 연구 착수
- 제2자유무역지역, 수정이냐 감계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