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의혹이 불거진 산청군농협이 농협중앙회 특별감사를 받고 있다. 뿔 난 지역 주민들은 이번 감사가 사실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 농민을 위한 농협으로 새롭게 거듭나는 계기가 되길 바라고 있다.

산청군농협은 최근 조합장 경업(경쟁 업종에서 하는 일)금지 위반부터 정육코너 유착 의혹, 산불 구호품 사적 사용 의혹 등 각종 의혹이 꼬리를 물고 제기됐다. 또한, 상임감사 선거를 두고는 사전선거운동 의혹이 일어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이뿐 아니다. 지난해 치러진 이사 선거에서는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조합원 8명이 고발돼 이 중 4명은 벌금형을 선고받고, 나머지 4명은 재판을 받고 있다. 조창호 조합장 취임 이후 바람 잘 날 없던 산청군농협은 급기야 국정감사장에서도 이름이 올랐다. 임미애(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국회의원은 지난달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농협 조합장 경업금지 조항의 허점을 지적하며, 조 조합장 의혹 사례를 들어 허점을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산청군농협은 산청군에 유일한 지역농협으로 농민을 대표하는 조직이다. 산청 주민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는 조합원인데다, 많은 이가 준조합원으로 농협과 거래를 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전 군민이 관련된 곳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협은 농민들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이다. 농업 생산력 증진과 농민 경제적·사회적 지위향상을 도모해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된 특수법인체다. 산청 농민들도 대부분 산청군농협 조합원이다. 곤두박질한 산청군농협의 이미지는 산청 농민과 군민들의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쇄신되어야 한다.

현장에서 만난 주민은 이번 사태를 두고 억장이 무너진다고 했다고 하소연했다. 올해 대형 산불과 집중호우, 산사태를 경험한 산청 주민들은 산불 구호품 사적 사용 의혹까지 일자 할 말을 잃었다.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빼앗아 간 재난보다 믿었던 이들에게 배신당한 심정에 울화통이 터진다.

농협중앙회는 최근 사건과 사고에 휩싸인 농축협에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고강도 제재를 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존 지원 자금 회수 확대는 물론, 사고의 경중에 따라 신규 지원 자금을 중단한다. 이 밖에도 사안이 엄중하거나 비위 행위를 고의적으로 은폐 또는 축소하려는 시도가 발각되면 가중 처벌하기로 했다. 이번 산청군농협 사태는 농협이 바로 서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엄중한 감사와 정당한 조치는 농협이라는 특수법인이 사회적 신뢰를 잃지 않는 마지막 길이기도 하다. 조합원들도 환골탈태하는 조합을 위해 스스로 나서야 한다. 농협의 주인은 조합원이다.

/김태섭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