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함안박물관과 함안면 현장서
2021~2025년 발굴 성과 첫 공개
함안지역 불교문화의 중심지 조명
함안군과 불교문화유산연구소가 25일 ‘함안 의곡사지 조사성과에 대한 성과보고회 및 현장공개회’를 개최한다.
이날 오전 10시 30분 함안박물관에서 성과보고회가 열리고, 오후 2시 발굴 현장(함안면 강명리 산 1번지)인 의곡사지에서 현장공개가 진행된다. 발굴조사 성과에 대한 공식적인 공개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성과보고회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진행된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의 주요 성과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자리이다. 발표는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 성과와 가람 △함안 의곡사지 관련 문헌과 ‘의지승’ 용례 검토 △함안 의곡사지 출토 불상 고찰 순으로 진행된다.
애초 절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아 ‘강명리사지1’로 불렸던 이 유적은 2021년 1차 시·발굴조사에서 ‘의곡사(義谷寺)’라는 명문 기왓조각이 출토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이어진 연차조사에서는 의곡사지 중심 건물지를 비롯한 사역(寺域) 구조가 점차 드러나 통일신라시대 탑지, 금당지, (추정)강당지, 이방형(耳房形)건물지, 대형석축, 기왓가마 등과 함께 다양한 불교유물도 확인됐다. 지금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총 9구의 통일신라시대 불상과 고려시대 청동소탑, 철제종, 청동풍탁 등이 출토됐다. 이는 함안 지역 불교문화의 융성과 사찰의 위상을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로 평가된다.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는 의곡사가 단순한 사찰 유적을 넘어 함안 지역의 역사와 불교문화의 중심지로 역할을 했음을 실증적으로 밝혀낸 사례로 꼽힌다.
군은 이번 보고회와 현장공개를 통해 지역민과 조사 성과를 공유하고,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함안군 관계자는 “지역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함께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뜻깊은 자리에, 시민과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며 “앞으로 추가 발굴조사와 함께 사적 지정 등의 절차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의곡사지를 함안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자원으로 육성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업은 국가유산청의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의 하나로 함안군, 불교문화유산연구소의 공동 협력 아래 추진됐다. 국가유산청은 기획재정부 복권기금 지원을 받아 2013년부터 비지정 폐사지를 대상으로 발굴조사를 하고 있다.
함안 의곡사지 발굴조사 관련 문의는 함안군 문화유산담당관 세계유산담당(055-580-2563)으로 하면 된다.
/유은상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