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조류 경보 상황이 5월 시작해 12월까지 상시화할 조짐이 나타나 우려 목소리가 나온다. 낙동강 수계 전반에 퍼진 조류 문제 해결이 지연되면서 환경단체들은 이재명 정부가 4대강 재자연화를 내세우고도 정책 추진이 더딘 점을 비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온 하강만으로는 녹조 발생 억제가 어렵다고 분석한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 보 개방을 통한 물의 흐름 개선과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오염물질 유입 차단이 핵심이라고 설명한다. 가장 근본적인 개선 방향은 현재 낙동강 본류에 설치된 8개 보의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거나 장기적으로는 재자연화를 추진하는 것이다.

본류 구간에만 8개 보가 설치된 탓에 낙동강은 유속이 느리고 체류시간이 길어 남조류가 쉽게 사라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운영 방식 개선이 절실하다. 특히 ‘눈에 안 보이는’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ion) 관리를 강화해 오염물질의 근본적인 유입을 줄이는 것이 수질 개선의 기본이다.

비점오염원은 농경지, 도로, 산지 등에서 불특정하게 빗물이나 눈 녹은 물에 섞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염물질이다. 그래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비료와 가축 분뇨 유출을 막고자 친환경 농업 기술을 보급하고, 완충지대(Buffer zone)를 조성해야 한다. 또 비가 올 때 오염물질 유입을 막기 위한 빗물 관리 시설(LID·저영향 개발 기법) 도입을 확대해야 한다.

도시 지역에서는 도로, 주차장 등에서 빗물에 섞여 나오는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초기 우수(First Flush) 처리 시설을 확충하고,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를 의무화해야 한다. 낙동강 조류 문제 해결은 ‘보 개방(유속 개선)’과 ‘비점오염원 관리(근본적 오염원 차단)’라는 두 가지 핵심 방향을 병행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정책 추진력 확보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환경부 물환경정책과에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전담팀을 두고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관련 정책의 일관성과 추진력 확보와 지역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의 협력 체계도 필요하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