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 꺾여도 낙동강 조류경보 여전히 ‘해제 불가’
찬물에 강한 남조류 탓 물금·매리 관심 단계 유지
경보 해제 12월에야 이뤄지기도...10년 새 반복
“수질 개선 없으면 매년 반복 불가피...개선 필요”
낙동강이 여름·가을뿐 아니라 겨울에도 신음하고 있다. 조류 경보는 이제 5월 시작해 12월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고착화되고 있다. 경보 상황이 상시화될 조짐이다. 전문가들은 보 개방 등을 통한 수질 개선을 다시금 강조한다.
11일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을 보면 전국 조류경보 발령지는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양산과 김해 사이) ‘관심’, 대청호(충북 청주) ‘경계’ 둘 뿐이다.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 조류경보는 5월 29일, 대청호는 7월 31일(경계 8월 14일 상향) 각각 발령되고 나서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조류경보는 유해 남조류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발령된다. 2주 연속 물 1㎖당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1000개체 이상이면 ‘관심’, 1만 개체 이상이면 ‘경계’, 100만 개체 이상이면 ‘대발생’이다. 두 차례 연속 조사에서 ㎖당 1000개 미만으로 확인되면 해제된다.
낙동강유역환경청 관할 구역(물금·매리, 칠서 지점)으로 범위를 좁히면 물금·매리 지점은 △10월 27일 1809개체 △11월 3일 1870개체 등 최근 두 차례 유해 남조류 조사에서 ㎖당 1000개 이상이 확인됐다. 이달 3일 경보가 풀린 칠서 지점과 대비된다.
칠서 지점(함안과 창녕 사이)은 유해 남조류 세포 수가 △10월 27일 965개체 △11월 3일 794개체를 기록하면서 해제됐다. 경보 해제는 5월 29일 최초 관심 단계 발령 기준 176일 만이자 경계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된 지 47일 만이다. 다만 칠서 지점은 10일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진행한 재조사에서 유해 남조류 1920개체가 확인됐다. 뒤이어 1000개체 이상이 한 차례 더 분석되면 다시 관심 단계로 들어선다.
통상 수온이 떨어지는 9~12월에는 조류 번식이 줄어 경보 수위가 낮아진다. 그렇지만 다소 차가운 물 속에서 번식력이 더 뛰어난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같은 조류가 많아 기온 하락이 경보 해제로 곧장 연결되지 않고 있다.
조류경보는 최근 10년 새 간혹 ‘6월 발령, 7월 해제(2020년)’로 끝난 적도 있었지만 2021년부터는 해마다 빠짐없이 연말에도 울리고 있다. 2020년에는 6월 18일 관심 단계 발령 후 7월 21일 해제됐다. 2021년에는 6월 10일 시작해 11월 24일까지 이어졌다. 그 이듬해부터 지난해까지는 매년 11~12월에 해제됐다.
칠서 지점도 비슷하다. 물금·매리보다 6년 먼저 조류경보제 관리 대상에 들었는데, 이곳은 대체로 9~12월 사이에 해제됐다. 경보제 적용 첫해인 2014년 이후로는 12월 22일(2022년), 12월 28일(2023년)에 해제된 해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수온 하강만으로는 조류 발생 억제가 어렵다고 분석한다. 보 개방과 오염원 관리가 병행되지 않으면 매년 같은 상황이 반복될 것으로 본다. 본류 구간에만 8개 보가 설치된 낙동강은 유속이 느리고 체류시간이 길어 남조류가 쉽게 사라지지 않는 구조이므로 개선이 절실하다.
이승준 경북대 교수는 “기온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일조량이 유지돼 남세균이 금방 사라지지는 않는다”면서 “공기 온도는 빨리 떨어져도 수온은 천천히 떨어진다. 수질이 개선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남세균이 계속 자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남세균은 3000종이 넘는데 겨울에 버티는 남세균도 있다”면서 “두껍게 층을 이뤄서 자라는 것은 아니지만 11~12월에도 잘 자란다. 비점오염원을 줄여 수질을 개선하는 것은 기본이다. 이러한 노력 없이는 눈에 안 보일 뿐이지 수질은 계속해서 나빠지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수계 전반에 퍼진 조류 문제는 해결이 지연되고 있다. 환경단체는 이재명 정부가 4대강 재자연화를 내세우고도 정책 추진이 더딘 점을 비판하고 있다.
환경부 물환경정책과 관계자는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전담팀을 두고 관리 중”이라면서 “대책을 세워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석환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