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늘어 신항만건설지원과 신설
9~11월 해수부 주관 착공식 예정
내년 북극항로 종합계획 수립 시작
해수부 이전에 관련 기관 유치 나서
경남도가 올 하반기 착공할 진해신항을 북극항로 진출 거점으로 키우는 방안을 모색한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진해신항에 항만 관련 공공기관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로 했다.
경남도는 7월 물류공항철도과에서 신항만 지원 업무가 늘다 보니 '신항만건설지원과'를 신설했다. 신항만건설지원과는 진해신항 관련 정책과 사업 발굴 등을 총괄·조정한다.
해수부가 주관하는 진해신항 착공식은 9~11월 사이 열릴 예정이다. 이에 경남도는 올해를 진해신항 사업 전환점으로 삼았다.
박완수 도지사는 지난달 확대간부회의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 "해수부뿐만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 대기업 본사까지도 부산항 신항 주변에 집적시켜야 한다"면서 "북극항로 개발을 정부가 추진하는 만큼 조선·금융·물류 인프라가 신항 중심으로 집중돼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경남도 중점 과제는 △글로벌 항만 전진기지로 신항만 조성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거점 항만 구축 △정주·첨단이 공존하는 항만배후도시 조성이다.
진해신항은 세계 최대 규모로 3만 TEU(6.1m 길이 컨테이너 단위)급 선박이 댈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국내 기술을 바탕으로 자동화·지능화한 항구로 조성된다. 14조 6000억 원을 들여 2040년까지 21선석 전면 완공이 목표다.
2029년 3선석이 우선 개장하고, 2032년 9선석까지 갖출 예정이다. 1단계 완공 시점인 2032년 경남 24선석(51%)·부산 23선석(49%)으로 진해신항 쪽 비중이 커지며 2단계 완공 시점인 2040년에는 부산항 신항·진해신항 59개 선석 중 경남 36선석(61%)·부산 23선석(39%)이 된다.
경남도는 해양물류 변화 핵심인 북극항로 개척 준비에도 나섰다. 우선 12일 경남연구원과 함께 '북극항로 진출 거점 육성을 위한 경남의 대응방안' 세미나를 연다.
올 하반기 북극항로 대응 정책 연구를 시작하고, 내년에는 종합계획(마스터플랜) 수립에 들어가 해수부 '북극항로 거점 항만 조성 전략'과 발맞추려고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북극 해빙 예측과 항로 전망 통제탑(컨트롤타워), 극지 운항 전문인력 교육기관 유치 등으로 산학협력지구(클러스터) 구축도 추진한다.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항만 관련 공공기관 유치에도 힘쓰기로 했다. 경남도는 해수부 산하 기관·연구소 또는 관련 기관 등 목록을 만들어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세관·출입국·검역 등 기관이 모일 수 있는 비즈니스센터를 건립해 일괄 행정 서비스 기반을 마련한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 세관 통합검사장, 후생복지시설, 연도 해양문화공간도 차례로 들어선다. 도내 특성화 대학과 연계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해 자동화 항만 기술 인재를 양성할 방침이다.
안정적인 물류 처리를 위해 6조 원 규모로 진해신항 인근 도로·철도 등 교통망도 구축한다. 부산항 신항 연계, 내륙 연결, 가덕도신공항 접근 등 교통축 형성이 주요 사업이다. 경남도는 이를 1단계 개장 전에 완료할 수 있도록 우선 이 같은 교통망 계획을 제4차 항만기본계획(2021~2030년)에 반영하려고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
진해신항 배후단지는 물류기지를 넘어 정주 기능을 갖춘 자족형 배후도시로 건설한다. 정부 협업 기구를 구성해 산업·인프라·주거가 조화를 이루는 종합 청사진을 마련할 계획이다.
항만하역장비 제작장과 항만장비 국산화 지원 등 항만기술산업 생태계도 조성한다. 배후단지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으로 기업 투자도 유치할 예정이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