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국회 본청 앞에서 '릴레이 사과' 동참
"시국 위중함 들어 국정 변화 요구했어야"
당론 뒤 숨고, 당 지도부 결정에 안주 고백
"대선 후보 교체도 절차적 행위 훼손 오류"
당에 '대표가 아닌 원내 중심성' 강화 제안
최형두(국민의힘·창원 마산합포) 국회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 불법 비상계엄 사태에 침묵한 책임을 인정하며 사과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 계엄 선포를 두고 “대통령이 계엄이라는 엄청난 오산과 오판을 결심하는 동안 여당 의원으로서 아무 역할도 하지 못했다”며 “국회의원은 지지자들뿐 아니라 국민 전체를 바라봐야 하지만 나는 그럴 용기를 갖지 못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6일 국회 본청 앞에서 “앞으로는 잘못된 정당 정치 관행, 당 대표 제도, 선거 제도, 헌법 권력 구조를 바로잡는데 22대 국회의원으로서 모든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의원은 12.3 비상계엄 관련 “지난해 11월 야당 공세가 거칠어지고 정국이 어려워질 때 몇몇 뜻 맞는 동료 의원들과 함께 대통령실이나 용산 관저를 찾아서 옛 선비들이 하던 ‘도끼 상소’ 심정으로 시국의 위중함을 대통령이 인식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결심하지 못하고 시행 전 단계에서 멈칫하고 말았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것이 제 탓이고 부족한 탓이다. 당론이라는 이름 뒤에 숨었고, 당 지도부 결정 뒤에 안주했다”고 고백했다.
국회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불참을 두고는 “시간이 조금 늦어 표결하지 못했지만 그날 밤 국회 담장을 넘지 못한 우리 당 동료 의원들 생각도 한결같았다. 계엄 관련 대통령이 법적·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임기 또한 국민에게 맡겨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도 그런 발표를 잠깐 했지만 야당이 수용하지 않았고 우리 당은 정치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탄핵 격랑에 휩싸였다”며 야당 태도에 일부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을 두고도 “헌법재판소 탄핵 결정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었지만 민주당의 거친 탄핵소추와 절차적 정의 문제를 비판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당 비상대책위원으로서 지난달 김문수 당 대선 후보를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교체하는 데 조력했다. 이에 5일 비상대책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힌 그는 “단일화라는 막중한 과제 앞에서 절차적 정의를 훼손하는 심각한 오류에 빠졌다”고 반성했다.
국민의힘은 새 원내대표 선출을 앞두고 있다. 최 의원은 “당 대표라는 사람이 전 국민의 1%도 참여하지 않는 선거로 당 지배구조를 구성한다. 당 대표 제도가 원내 정당보다 더 낫다는 근거가 없다”며 “원내대표가 정책위의장을 러닝메이트 삼는 제도로 국민에게 꼭 필요한 정책적 선택을 과감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평소 소신인 ‘당이 아닌 원내 중심성 강화’를 강조한 언급이다.
/김두천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