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둘을 키우고 있는 40대 주부입니다.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를 생각하면 우리 아이들이 이 세상을 살아갈 수는 있을까라는 걱정에 밤잠을 설칩니다. 

후보들의 기후 공약을 보면 한심합니다. 한 후보는 2040년까지 탈석탄과 탈플라스틱 달성,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30%를 달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는 2024년 총선 공약의 재탕에 불과하고, 구체적 로드맵도 없습니다. 특히 당장 올해 말부터 폐쇄가 예정된 석탄발전소 노동자들과 지역민들을 위한 정의로운 전환에 대한 구상은 부재합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 또한 없습니다. 오히려 최근 경제계 인사 만남에서 8년 전 재벌 해체에 정치 생명 걸겠다는 발언은 기업과 삼성이 잘 살아야 한다, 규제 합리화하겠다는 발언으로 바뀌었습니다. 

김해시민 정진영 씨.
김해시민 정진영 씨.

최근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 발표에 따르면, 세계 상위 소득 10%가 지구 온난화 영향에 65%가량의 책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들은 훨씬 많은 탄소를 배출함에도 기후 변화 영향을 비교적 덜 받거나 그들만을 위한 대응책을 마련해두고 있습니다. 부유한 계층의 탄소 배출 책임을 다루어야 기후 위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 

우선, 2018년 대비 55%를 감축하겠다던 기존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66.7% 감축하는 것으로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2023년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약속한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 3배 약속을 지키기 위해,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재생에너지 2030년까지 78GW 확충 목표를 97.5GW까지 끌어올려야 합니다. 

현재 90% 이상 민영화·국외 자본화가 진행된 재생에너지 공공성을 드높이고 개발 이익을 지역민에게 환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지자체의 에너지 허가 및 운영에 대한 분권도 실현되어야 합니다.

중도층에 많은 기후 유권자의 표심을 확보하려면 대선 후보들은 탄소중립 목표와 에너지와 산업 전환, 기후 불평등 해소에 대한 신중하고 명확한 공약을 내놓아야 합니다. /정진영(48·김해시 내동)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