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의거 관련 단체들 일부 임원들이 불법 계엄으로 민주주의 파괴를 시도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두둔하고 헌법재판소 파면 선고에 의문을 제기하는 반민주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주임환 3.15의거기념사업회 회장 의견처럼 "다른 의견은 다른 대로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그래도 이건 옳지 않다. 단체 성향이 보수적으로 변하더라도 보수의 최대가치인 헌법수호마저 버린다면 기념사업회는 존재할 이유가 없는 것 아닌가!

이우태(경남대 경제금융학과 명예교수) 3.15의거학생동지회장의 극우 시각은 의거에서 희생한 동지들에 대한 모독이다. 그는 윤 전 대통령 파면이 위헌·위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법적 논리 없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집권 기간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려고 굉장히 애를 많이 썼다"라든지, "국가원수로서 계엄령을 충분히 내릴 수도 있는 건데 그걸로 내란이다, 파면이다, 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역시 학생동지회의 존재 이유를 부정하는 것이다.

기념사업회 관계자는 "학생동지회는 민주주의를 지키려고 나섰던 학생 모임인데 그런 단체장이 3.15 정신과 다른 시각을 가졌다는 것은 이율배반"이라면서 "아무리 연세가 들었다고 해도 3.15 세대이면서 극우적인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통령 파면 부당함을 주장하는 기념사업회 일부 이사진을 두고는 "기념사업회 단체 이름으로 파면 환영 성명까지 냈는데 다른 의견을 가졌다면 스스로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1960년 3월 15일, 자유와 민주를 향한 마산 시민들의 숭고한 외침은 대한민국의 역사를 바꾸었다. 3.15의거는 4.19 혁명으로 확산하면서 이승만 독재정권은 무너졌다. 우리나라 최초 민중에 의한 정권 교체였다. 3.15의거기념사업회 존재 이유는 민주주의를 지킨 3.15정신이다.

대통령이 헌법과 법을 어기고 군을 동원해 헌법기관을 침탈하고 민주주의를 짓밟아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당했다. 시민들은 3.15의거 단체 정체성에서 벗어난 일부 구성원들의 몰상식한 시각을 보며 이들 단체의 존재 이유를 묻고 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