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25일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 전략사업’ 발표
창원시 제2국가산단 폐광산 구역 조정 등 이유로 재심의
‘방위·원자력 국가산단 배후 물류산업단지’ 등은 탈락
명태균 개입 의혹을 받은 창원시 제2국가산업단지 사업이 보류됐다.
국토교통부는 25일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 전략사업’을 발표했다. 창원시는 7건을 신청해 3건이 선정됐다. 핵심 사업으로 꼽았던 ‘창원·방위·원자력융합 국가산단’(제2국가산단)은 재심의 결정을, ‘방위·원자력 국가산단 배후 물류산업단지’, ‘동남권 도시첨단 물류단지’, ‘스마트 시니어 의료특화 복합단지’ 사업은 탈락했다.
‘제2국가산단’ 사업은 의창구 북면, 동읍 일대(364만 8271㎡)에 방위, 원자력 관련 산업 시설과 주거·상업 시설을 구축한다는 내용이다. LH(70%), 창원시(15%), 경남개발공사(15%)가 1조 9600억 원(추정치)을 들여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1월 사업구역에서 발견된 일제강점기 폐광산을 재심의 사유로 언급했다. 사업구역을 조정 등 계획을 보완하면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서 재심의하기로 했다.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8월 이전에 끝난 현장 실사나 전문가 검토 때는 폐광을 발견하지 못하다가 문화유산 지표 조사 때 폐광산을 확인했다”며 “짧으면 1~2개월, 수개월 안에 재신청해 승인을 받겠다”고 말했다. 신 국장은 “폐광산 구역만 조정하면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며 “인근에도 개발제한구역이 있어 터를 더 확보할 수 있고 폐광산 구역을 제외하더라도 231만㎡ 규모로 국가산단 추진에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이 재심의 결정된 것은 다소 아쉬운 결과지만 완벽한 보완 작업을 거쳐서 재심의에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2국가산단과 함께 선정되지 않은 ‘방위·원자력 국가산단 배후 물류산업단지’는 의창구 북면(743만 4848㎡)에 제2국가산단, 진해신항 항만 배후단지, 가덕도 신공항 등을 고려해 물류 시설을 짓는 계획이다.
‘동남권 도시첨단 물류단지’는 의창구 동읍 용전리(128만 8362㎡)에 생활 물류 시설을 들이는 사업이다.
‘스마트 시니어 의료특화 복합단지’는 마산합포구 현동(97만 6115㎡)에 주거·의료 시설을 짓는 것을 골자로 한다.
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탈락한 사업들은 발굴 사업이어서 2차 선정 시기에 재검토해 신청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 동북아 물류플랫폼 조성사업 후보지 등이 포함되지 못한 김해시도 2차 선정 시기를 준비하고 있다.
김해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GB 지역전략사업에 선정된 진영 일반산단 개발사업은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절차를 밟아 김해시 미래 전략사업과 연계해 개발할 계획”이라며 “선정되지 않은 세 가지 사업은 국토부가 2차 수요조사를 한다고 발표해서 2차에서 선정되도록 재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귀화·이수경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