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사태 이전부터 투쟁 이어와
더 나은 사회 함께 만들 시민 기다려
"연대하는 시민들 보면서 희망 생겨"
12.3 내란 사태’ 이후 이어진 시민 연대가 서울 남태령 집회를 기점으로 사회 곳곳으로 퍼지고 있다. 특히 그동안 소외됐던 노동자·농민·장애인 투쟁이 주목 받는 가운데 여전히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는 이들도 적지 않다.
현대위아 불법파견 소송단은 지난 1월 24일부터 매일 아침·점심·저녁으로 출근길 선전전을 이어오고 있다. 소송단에 이름을 올린 이들은 현대위아 창원공장 사내 하청 노동자 46명이다. 이들은 사용자인 현대위아가 하청 노동자들을 불법적으로 파견해 사용하고 있으니 직접 고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불법파견 소송은 지난한 싸움으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판결까지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고 그 사이 사용자 측 회유도 이겨내야 한다. 현재 46명 가운데 투쟁을 전담하는 이들은 4명, 나머지는 생계에 종사하면서 이들을 지원하고 있다. 투쟁 기금 사정도 넉넉하지는 않지만 더 큰 걱정은 ‘잊힘’이다.
김진형 현대위아 불법파견 소송단 대표는 “매일 나와서 선전전을 하다 보니 어느 순간 외롭다는 생각이 들더라”며 “우리 투쟁은 시민들이 얼마나 공감해 주느냐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2·3 비상계엄 이후로는 선전전을 하고 있으면 지나가는 시민들이 고생한다거나 파이팅을 외쳐준다”며 “앞으로 우리가 더 많은 시민을 설득해 나가야겠지만, 이번에 희망을 본 것 같아 힘이 된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25일부터 출퇴근길 선전전을 이어오고 있는 현대위아 사무연구직 노동조합 역시 시민 관심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현대위아가 공작기계사업부 매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무·연구직 노동자들을 배제했다며 교섭을 촉구하고 있다.
김태헌 현대위아 사무연구직 노조위원장은 “대기업 입장에서는 시민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며 “법을 교묘하게 이용해 노동자를 기계 부품처럼 교체하려는 대기업 행태를 알아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고용 불안을 호소하며 노숙 농성과 1인 시위를 벌였던 돌봄 노동자들도 있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 들어 돌봄 사업 기조가 공공에서 민간으로 바뀌면서 한순간에 생존권이 위협받게 됐다.
최영숙 민주노총 공공연대노조 경남본부 사무국장은 “공공기관에서 돌봄 사업을 수행하면 관련 지침이라도 지키는데 민간은 자기 입맛에 안 맞으면 노동자와 계약 연장을 안 해버린다”면서 “지금은 당사자들이 이 문제를 최대한 해결해 보려고 창원시나 경남도와 면담도 하고 농성도 하고 하는데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학교 예술 강사 예산 복원 투쟁을 벌이는 박은혜 씨도 “예술 강사가 어떤 일을 하는지도 모르면서 단지 이전 정권에서 하던 사업이라서, 교육감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며 예산을 잘라버렸다”며 “당장은 강사들 생계 문제이기도 하지만 길게 보면 학생들 학습권 침해도 우려되는 만큼 시민들이 관심을 두고 지켜봐 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신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