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부 300여 명 저임금 구조 타파 등 요구
'집회 시도 무력화' 윤석열 정권 퇴진 촉구도
교육복지 노동자들이 학교와 사회 내 불평등과 차별 철폐를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비상계엄으로 집회의 자유를 훼손하려고 시도한 윤석열 정권 퇴진도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남지부는 6일 경남교육청 정문 앞 도로에서 총파업 대회를 열었다. 이날 노동자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총파업 대회는 노동조합과 사용자 측인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의 집단 임금교섭이 결렬됐기 때문에 전국 곳곳에서 마련됐다.
경남지부는 "지난달 22일 실무교섭 이후 총파업 전에 추가 교섭을 요구했으나 사용자 측 거부로 교섭이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파업에 이르렀다"면서 "노조는 파업 전 마지막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자 교육부 장관 면담을 요구했으나, 교육부는 오히려 경찰을 통해 노조 대표자인 정인용 본부장을 체포해 구금했다"고 꼬집었다.
앞서 노조는 △최저임금에도 미달하는 기본급 정상화 △근속연수가 증가할수록 정규직 대비 임금 격차가 벌어지는 저임금 구조 해소 △교육공무직 노동자의 직무가치 인정 △복리후생 차별 해소·단시간 노동자 차별 해소 등을 주요 요구로 제시했다. 그러나 노조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대부분 요구안에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며 파업을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경남지부는 투쟁결의문에서 "우리는 교육 현장에서 자행되는 불평등과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경고의 의미를 담아 학교를 잠시 멈춰 세웠다"면서 "우리 교육공무직 노동자를 비롯한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투쟁이 정권의 명운을 꺾어내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이 바뀐다고, 교육부 장관이 바뀐다고, 교육감이 바뀐다고 우리의 현실이 바뀌지는 않음을 지난 투쟁의 경험을 통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지부는 '퇴진 그 자체가 아닌, 퇴진 이후 변화를 바란다'며 △학교와 사회에 만연한 불평등과 차별 철폐를 위해 앞장서 투쟁할 것 △우리의 직무 가치 쟁취를 위해 투쟁할 것 △물가 폭등에 줄어드는 실질임금, 저임금 구조 타파를 위해 투쟁할 것 △윤석열 정권의 완전한 퇴진과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투쟁에 나설 것을 결의했다.
아울러 경남지부는 "윤석열 정부는 오히려 파업을 앞둔 지난 3일 위헌적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헌법상 권리인 단체행동권과 집회결사의 자유 훼손을 시도했다"고 규탄했다.
노동자들은 경남교육청 본청 앞에서 출발해 교육청 2청사 앞까지 돌며 행진을 하고 집회를 마무리했다.
경남교육청은 이날 학교비정규직과 교육공무직 파업에 대비해 △식단 축소 조정·간편식 제공, 대체 급식(빵·우유 등) 또는 가정도시락 지참 △돌봄전담사 공백에 합반 운영 또는 자발적 의사가 있는 내부 인력 활용 운영, 대체 강사 확보가 어려우면 돌봄교실 미운영 등 대응책을 마련했다.
도교육청은 공·사립 학교 1037곳에서 일하는 교육공무직원 1만 3275명 중 영양사, 조리사, 조리실무사, 돌봄전담사 등 1975명(14.9%)이 창원 또는 서울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했다.
학교 급식은 1037곳 가운데 767곳이 정상 운영했으며 237곳(빵·우유 231곳, 도시락 4곳, 기타 2곳)이 대체 급식을 진행했다. 나머지 33곳은 학사일정 등을 조정하며 급식을 하지 않았다.
/이동욱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