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문순규 시의원 공문서 공개
도시계획 재정비 논의 참여 정황
창원시 사업 얼개 구상하던 시기

김영선 사무실서 의원 참석 없이
명 씨, 창원시 간부 공무원 등 만나

시 "간담회 요청에 응해 의견수렴"

김건희 여사 국정개입 의혹 핵심 당사자인 명태균 씨가 창원시정에 개입한 의혹이 또 제기됐다. 이번에는 도시계획 재정비 규제 완화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정황이다.

문순규(더불어민주당, 양덕·합성2·구암·봉암동) 시의원은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창원시 공무원들이 명태균을 찾아가 기밀을 요할 수 있는 도시계획 관련 진행 사항을 설명하고 논의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김영선 의원 사무실에 열린 간담회 자리에 의원은 참석하지 않고, 명 씨가 진두지휘한 정황이 공무원이 작성한 출장보고서에 고스란히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문순규(가운데) 창원시의원이 19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박정연 기자 
문순규(가운데) 창원시의원이 19일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박정연 기자 

창원국가산단 배후도시인 의창·성산구 단독주택지 지구단위 계획 재정비는 민선 8기 홍남표 시정 주요 공약이었다. 창원시 간부인 도시정책국장을 포함한 공무원들이 명 씨를 만난 시점인 지난해 4월은 시가 배후도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얼개를 그리던 시기이다.

문 시의원이 공개한 출장보고서를 보면 명태균이 질문하고 창원시 공무원이 답하는 식이다. 도시 계획변경 가장 큰 이슈이자 난개발 우려 문제로 주목을 받았던 ‘종상향 변경’ 가능성에 대해 명 씨가 묻고, 창원시 공무원이 타지역 사례를 포함해 투입되는 비용 등을 구체적으로 답한 내용을 기록했다.

문순규 창원시의원이 공개한 창원시 출장보고서. 지난해 4월 17일께 '창원 배후도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관련 간담회' 건으로  창원시 도시정책국장을 포함한 공무원 4명이 명태균 총괄본부장을 포함한 김영선 의원실 관계자들을 만난 내용이 담겨 있다. /문순규 창원시의원
문순규 창원시의원이 공개한 창원시 출장보고서. 지난해 4월 17일께 '창원 배후도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관련 간담회' 건으로  창원시 도시정책국장을 포함한 공무원 4명이 명태균 총괄본부장을 포함한 김영선 의원실 관계자들을 만난 내용이 담겨 있다. /문순규 창원시의원

민주당은 홍남표 시장에게 창원시 행정 전반에 불신을 초래한 의혹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시의원은 “창원시 공무원이 명태균을 만나 논의한 내용이 올해 1월에 고시된 창원 배후도시 지구단위계획 변경 결정에도 포함됐다”며 “신규 국가산단 선정 개입 의혹을 넘어 해당 사안에도 명 씨가 개입한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무원들이 명 씨와 접촉한 경위와 현황, 명 씨에 전달한 문서 일체를 공개하고 지구단위계획 변경에 개입한 사실은 없는지 시민 앞에 진상을 소상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원시는 김영선 전 의원실 요청으로 간담회에 참석한 것은 인정하면서도 의견수렴 과정 중 하나일 뿐이었다고 해명했다.

창원시는 “해당 간담회는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 중 하나에 불과하고 이후 시는 전문가 의견 수렴을 비롯해 주민의견 청취, 위원회 심의 등 다양하고 적법한 절차를 거쳐 창원배후도시 지구단위계획 최종변경 내용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종상향 이슈는 단독주택지 거주 대다수 주민의 숙원이자 간곡한 요청이었다”며 “명태균 씨 개인의 단독 요구 사항이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박정연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