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국장 간부 참석 시정조정위원회
재심의 결정 이후 열흘 만에 재개
공사 지연으로 개관 시기 늦췄지만
"명칭 결정 졸속...공론화 과정 축소
시가 건립 추진위 위상 떨어뜨려"
창원시가 ‘민주주의전당’ 이름을 확정하는 시정조정위원회를 20일 오전 개최한다. 일부 보수단체가 밀어붙이는 ‘자유민주주의전당’을 비롯해 7가지 안을 다룬다.
명칭 후보 가운데 4건은 ‘창원시 민주주의전당 건립 추진위원회’가 제안했다. △한국민주주의전당 △창원시마산민주주의전당 △창원민주주의전당 △마산민주주의전당 등이다. 추진위원회는 2022년 조례를 근거로 설치한 심의·자문기구다. 나머지 3건은 시민공청회에서 일부 의견으로 나왔다. △한국자유민주주의전당 △한국자유민주주의집 △자유민주시민의전당 등이다.
시는 민주주의전당 건립 준공 시기와 개관 일정까지 늦췄지만 명칭 결정에는 속도를 내고 있다.
정우영 시 자치행정과장은 “건립 공사 지연으로 9월 준공에서 11월 준공으로 결정이 난 것은 맞고 그에 따라 개관 시기도 내년 2월 정도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명칭을 이른 시일 안에 결정해야 집행부가 만든 조례안을 시의회 상임위원회를 거쳐 본회의에서 확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의회 소관 상임위원장은 10일 본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자유민주주의전당’ 명칭에 대한 찬성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기획행정위원장인 박선애(국민의힘, 월영·문화·반월중앙·완월동) 시의원은 “자유는 민주주의 중요 가치이자 명칭이 전당의 성격과 목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시장은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홍남표 시장은 “대한민국 핵심 가치 중 하나가 자유이고, 자유의 가치를 민주화에 덧붙이는 건 괜찮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다만 여러 이해관계자가 있기 때문에 시정조정위원회 시의회 공론화를 거쳐서 바람직한 명칭이 결정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시는 민주주의전당 명칭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신중한 검토’를 거듭 강조하지만 정작 여론수렴 과정은 촘촘하지 않다. 애초 시는 6월 시민 대상 명칭 선호도 조사를 예고했지만 이를 건너뛴 채 시정조정위원회 결론을 앞두고 있다.
추진위원회 구성원으로서 민주주의전당 관련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민주단체들은 이 같은 의사결정 과정에 반발하고 있다.
공동위원장 중 상임대표를 맡고 있는 주임환 ㈔3.15의거기념사업회장은 “건립 추진위원회를 주도해서 만든 주체가 바로 창원시”라며 “창원시가 지역 민주단체 대표 5명을 공동위원장으로 위촉해 운영 조례까지 만들었고 위원회는 학계 전문가를 비롯해 20명 정도가 명칭을 고심해 전달했는데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추진위 위상을 땅에 떨어뜨린 것도 모자라 졸속으로 명칭을 결정하려는 창원시 행태를 이해할 수 없고 결과에 따라 민주단체 차원에서 중지를 모아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정연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