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제거선 등 대응 설비 강화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낙동강유역본부가 본격적인 녹조 발생에 대비해 녹조 제거 설비를 투입하는 등 집중 점검에 나섰다.

지난 7일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관리처장이 낙동강 창녕함안보 지점에서 녹조대응현황을 점검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
지난 7일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관리처장이 낙동강 창녕함안보 지점에서 녹조대응현황을 점검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

지난 6월 말부터 7월까지 평년 대비 1.3배 많은 집중호우가 발생해 낙동강수계로 많은 오염원이 유입됐고, 8월 이후부터 10월까지 예년보다 높은 기온이 예상돼 녹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낙동강유역본부는 지난 6일 안동댐 예안교, 본류 물금매리 지점을 시작으로, 7일은 창녕함안보 지점, 8일은 영주댐, 보현산댐 녹조 발생 현장을 긴급 점검했다.

창녕함안보 녹조 제거선 운항 모습./한국수자원공사
창녕함안보 녹조 제거선 운항 모습./한국수자원공사

특히, 11대 녹조제거선을 비롯한 165대 물순환설비, 수면포기기 등 녹조 성장 방지 설비와 녹조 확산 방지막 설치 등 녹조 대응 설비 구축 상황을 살폈다.

8일에는 유역본부장 주재로 집중점검 대상 5개 현장 녹조대응 담당자를 긴급 소집해 유기적인 협력과 대응 태세 강화를 위한 대책회의를 했다.

8일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장 주재로 낙동강수계 녹조우심지역 5개 현장에 대하여 대책회의(화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
8일 한국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장 주재로 낙동강수계 녹조우심지역 5개 현장에 대하여 대책회의(화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

조영식 낙동강유역본부장은 “올해는 과거 어느 해 보다도 가장 많은 녹조 제거설비를 낙동강 수계에 투입하는 등 가장 강력한 녹조대응 체계를 구축했다”며, “더 안전한 물 환경을 조성해 안심하고 깨끗한 물을 이용하는 데 차질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우귀화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