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가 환경부의 수돗물·공기 중 조류 독소 불검출 발표를 두고 '꼼수 조사'라고 지적했다. 

낙동강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은 12일 공동으로 성명을 내고 "환경부가 낙동강 지역 수돗물 녹조 조사를 빠뜨렸고 녹조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이 지난 뒤 수돗물과 공기 시료를 채취하는 등 꼼수를 부렸다"고 비판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대전 송촌정수장 △청주 지북정수장 △대청호 3지점 △낙동강 8지점 △영주댐 4지점 △무섬마을(경북 영주)의 수돗물과 공기에서 조류독소를 분석했다. 

환경부는 조류 독소 존재 여부를 분석한 결과 모든 지점의 수돗물과 공기에서 조류독소가 정량한계 미만으로 나왔다고 공개했다. 또 수도사업자와 국립환경과학원이 조사한 결과에서 2014년부터 올해까지 조류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는 환경부가 녹조 오염이 많은 낙동강 원수 채수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단체는 "대청호 수계 정수장 2곳 원수의 녹조독소 농도는 최대 6.543㎍/L였지만 당시 문제가 제기됐던 낙동강 원수의 녹조 독소 농도는 최대 5921㎍/L였다"며 "채수 방식의 차이와 시기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도 대청호와 낙동강의 녹조 독소 농도는 너무 큰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수처리 전 독소 농도가 정수처리 후 수돗물의 농도에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데 낙동강 수돗물 원수를 제외해 발표한 환경부를 과학적으로는 물론 상식적으로도 납득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환경단체는 또 "2016년 2월 카이스트(KAIST)가 시민환경연구소 의뢰로 낙동강 권역 수돗물 녹조 독소를 분석한 결과에서 조류 독소가 검출됐다"며 "조사도 낙동강 3개 지점에서 하루만 시도했는데 환경부가 일부러 회피한 건 아닌지 의심이 가는 건 물론이고 정확한 조사를 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실 물환경정책과 관계자는 "기간을 길게 하는 잡아 조사하는 것에 비해 데이터 수 자체가 적을 순 있어도 조류 독소가 많이 발생한 시기를 맞춰서 방문했다"며 "환경단체만큼 많은 조사를 못 한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해서 이 조사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정종엽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