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행동 장기화 대응해
재난관리기금으로 의료기관 지원
상급병원 4곳에 인건비 등 1억 원
마산의료원 연장 진료 수당에도

경남도는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하는 의료기관에 재난관리기금을 지원한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 집단행동 장기화에 대응하고자 도와 시군이 푸는 기금 규모는 5억 원이다.

도는 도내 상급병원 4곳(경상국립대병원·창원경상국립대병원·삼성창원병원·양산부산대병원)에 1억 원씩 총 4억 원을 지원한다. 병원은 재난관리기금으로 인력 연장근무, 추가 채용 인건비, 의료장비 구입 등에 쓸 수 있다.

한덕수(오른쪽 둘째) 국무총리가 15일 박완수(왼쪽 둘째) 경남도지사, 홍남표(왼쪽 셋째) 창원시장과 마산의료원을 방문했다. 한 총리가 의사 집단행동 대응 비상 진료체계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의료진을 격려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한덕수(오른쪽 둘째) 국무총리가 15일 박완수(왼쪽 둘째) 경남도지사, 홍남표(왼쪽 셋째) 창원시장과 마산의료원을 방문했다. 한 총리가 의사 집단행동 대응 비상 진료체계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의료진을 격려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양산시 웅상중앙병원 폐업으로 발생한 의료 공백을 없애고 응급의료체계를 강화하고자 응급의료시설 등 4곳(베데스다복음병원·본바른병원·명성의원·열린약국)에는 응급실 운영·야간 연장 진료에 필요한 인건비 5300만 원을 지원한다. 마산의료원 연장 진료수당 지급도 지원한다. 마산의료원은 지난달 27일부터 평일 2시간 연장 운영하고 토요일에도 진료를 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의료사태를 국가적 대형 재난으로 보고 예비비 1285억 원을 편성해 전공의 집단행동 대응 비상 당직 인건비, 전공의 대체 의료인력 채용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에 재난관리기금 운영 지침을 내리고 공공의료기관 인건비 지원 등을 주문했다.

재난관리기금은 광역·기초자치단체가 각종 재난 예방과 복구에 필요한 비용을 매년 적립하는 법정 의무 기금이다. 법령에 따라 보통세 1% 수준으로 적립하고, 적립금 21% 이상을 본예산에 편성해놓는다. 도는 올해 사용할 수 있는 기금 규모를 40억 원, 도내 시군은 총 55억 원으로 잡았다.

경상남도의사회 회원들이 지난달 국민의힘 경남도당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경남도민일보 DB  
경상남도의사회 회원들이 지난달 국민의힘 경남도당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경남도민일보 DB  

도 관계자는 “이번 재난관리기금 지원은 의사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 공백을 없애는 비상대책이다”며 “도내 의료현장에 차질이 없도록 재정 지원이 꼭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고 말했다. 이어 “도민 진료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비상진료체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20일 응급의료센터인 창원파티마병원에서 간담회를 열고 응급의료기관 운영상황과 애로사항 등을 들었다.

경남지역 수련병원 10곳 전공의 480명 대부분이 사직서를 제출했고 복귀 인원은 미미한 수준이다. 경상국립대병원·창원경상국립대병원 교수진 260명 중 절반 이상이 정부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25일 사직서를 내겠다고 예고했다.

정부는 다음 주부터 업무개시명령을 위반한 채 의료 현장에 복귀하지 않는 전공의를 대상으로 면허 정지 처분할 방침이다.

/이미지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