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당 출정식서 '노무현' '김경수' '균형발전' 등 언급
스스로 "비례 후보 중 하나" 표명…사법 리스크 반론도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경남도당 창당행사에 참석해 부울경 메가시티 부활을 총선 의제로 제시했다.
조 대표는 10일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봉하마을 깨어있는시민 문화체험전시관에서 열린 경남도당 출정식에서 “균형발전 공화국, 지역주의가 발붙이지 못하는 정치, 특권과 반칙 그리고 차별 없이 누구에게나 골고루 기회가 보장되는 기회균등 나라, 고 노무현 대통령이 꿈꾼 나라를 만드는 것이 창당 정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김포시 서울 편입 추진 등을 보면서 윤석열 정부에 분노한 부울경 시민은 동남권 메가시티는 안 된다면서 메가서울은 되느냐고 말한다”며 “부울경 메가시티가 좌초된 것은 전 정부가 추진한 것이라는 정치적 이유밖에 없지 않으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산, 울산, 경남은 역사적·정서적 동일성이 크고 부산에는 신항 등 대규모 항구와 문현 금융단지, 울산에는 울산과학기술원이 있어 연구개발 인력을 양성할 수 있고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이 있다. 경남에는 두산에너빌리티, LG전자,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굴지의 대기업과 한국토지주택공사를 비롯한 공기업이 있다”며 “부울경이 상호 협력해서 상승효과를 내면 수도권과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벗이자 동지인 김경수 전 도지사가 꿈꾼 동남권 메가시티를 되살려 일자리와 자본, 기회의 수도권 편중을 해소하고 부울경 1시간 생활권 시대를 반드시 열겠다”고 약속했다.
출정식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조 대표는 “프랑스는 프랑수아 미테랑 전 대통령 시절 지방분권 개헌으로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됐다”며 “학자적 소신에서 노 전 대통령이 세종시에 일부 옮긴 것에 추가해서 사법 관련 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국혁신당 22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은 지역구보다는 비례대표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조 대표도 이날 자신도 “후보 중 하나”라고 밝혔다. 자신을 비롯한 영입인사 등 ‘사법적 위험’ 지적에는 “정치인 이전에 대한민국 국민은 하급심 유죄라도 상고해 유무죄를 다툴 헌법적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최환석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