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2월 도민회의 청소년, 청년에 집중
진로 고민 청소년 "진로 작성 활동 확대 필요"
지역 대학생 "자치단체 차원 지역대학 지원"
청년 농어업인 "청년 우대 정책 많아지길"
청소년들이 진로 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대학생·퇴직 교원을 활용한 지도 상담 프로그램, 지방자치단체 차원 공모전·대회 확대를 경남도에 요청했다. 생활기록부에 적을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을 제안한 것인데, 10대 청소년들은 진로를 결정하고 꿈을 펼칠 수 있는 무대를 지역사회가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도는 26일 중·고·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10명을 초청해 도청에서 2월 도민회의를 열었다.
김여정(17) 마산여고 학생은 이공계에 편중한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 문제를 지적하며 인문계 고등학생에게 진로 계획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마다 각자 활동을 바탕으로 생활기록부를 채운다. 하지만 인문계 고교생은 생활기록부 진로 관련 내용을 채우기가 막막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학생과 진로 탐구, 퇴직한 선생님과 과목 심화탐구를 하면 좋겠다”며 “지도상담 프로그램이 많아지면 인문계도 진로에 대한 확신이 생기고, 대학생과 퇴작한 중장년층 일자리도 만들어질 것이다”고 말했다.
최수연(18) 경남항공고 학생은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실제 경험이 부족하다 보니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에서 참여할 수 있는 대회 수가 적고 타 지역 대회는 참여자격이 제한되는 것이 많다”며 “특성화 인재육성을 위한 지역사회 관심이 더욱 필요하기 때문에 특성화 인재 대상 각종 대회와 공모전이 많아지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강경민(18) 경남예술고 학생도 “고성에서 재능기부로 마을벽화 작업을 했다. 뜻깊고 지역사회에서 가치를 알 수 있는 경험이었다”며 “청소년을 위한 재능기부 기회를 확대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동혁(17) 창원과학고 학생은 의과대학보다 과학기술대학을 선호하고 기초과학 분야 인식 개선을 위해 과학기술 교육기관 신설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도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도민 대상 연구성과 공유회도 제안했다. 이민주(15) 양덕여중 학생은 학생 참여로 학교 급식 질을 개선하자는 의견을 냈다.
대학생들은 자치단체 차원의 지역대학 지원 방안을 요청했다. 원지현(22) 경남대 학생은 대학가 열악한 주거 문제를 개선하고 학식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을 바랐고, 천윤주(23) 경상국립대 학생은 지역기업이 지역대학 졸업생 채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청년 농어업인 목소리도 있었다. 경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2기 수료생 김종빈(28) 씨는 “수료생 절반 이상이 농업에 정착하지 못하고 다른 진로를 고민한다”며 “수십억 원이 드는 시설비 부담이 크고 청년이다 보니 대출 실행 여부도 불확실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마트 농업을 하려는 청년농을 위한 농지 마련과 지원 사업 확대, 공동체 형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승욱(27) KB해랑수산 대표는 “전국 처음으로 경남에서 청년어업인연합회가 출범해 청년어업인이 양식자동화사업 등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며 “하지만 경남도 지원 사업을 보면 어업 규모와 경력 등 기준에서 청년에게 불리한 조건이 많다”며 “청년어업인 우대 기준을 마련해 달라”고 말했다.
정성엽(28) ㈜엠지아이티 직원은 지역기업과 연계한 단기 인턴십 지원 정책을 건의했다.
박완수 도지사는 “그동안 기성세대를 중심 도정을 펼치다 보니 10·20대 요구나 목소리를 소홀히 했다”며 “도민회의에서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 도정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