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장들 부산 지방대포럼서 초광역 경제동맹 의지 다져
박완수 경남도지사, 과세권·조직권 갖춘 행정통합 강조
박형준 부산시장, 교통망·부산대-경상국립대 통합 제안
울산시, 경주·포항 해오름동맹으로 경제동맹 시너지 기대
경남도·부산시·울산시는 수도권 일극 체제에 대응하고자 초광역경제동맹 공동협력사업에 힘을 쏟기로 뜻을 모았다.
경부울 단체장들은 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지역대포럼’에서 ‘지방시대 부울경 과제’를 발표했는데, 온도차는 있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행정통합, 박형준 부산시장은 1시간 생활권 교통망과 경상국립대-부산대 통합, 서정욱 울산시 행정부시장은 울산·경주·포항 해오름경제동맹을 통한 시너지를 강조했다.
박 지사는 중앙정부 권한을 이양받은 행정통합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박 지사는 “수도권과 부울경이 이극화 전략으로 가려면 공공기관 이전은 효과가 없다. 서울에 본사를 둔 기업과 산업은행 등이 이전해야 한다”며 “연구기관과 대학도 마찬가지다. ‘서울대’ 말고 국립한국대 1대학, 2대학으로 통합해 전국 곳곳에서 운영해보자”고 말했다.
박 지사의 발언 배경에는 가속화하는 청년 유출 문제가 있다. 일자리와 교육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수도권에 대응할 수 없다는 논리다. 통계청 분석을 보면 지난해 다른 지역으로 옮겨간 동남권 청년 순유출 규모는 3만 1969명이다. 직업(64.3%)과 교육(20.4%) 탓이 컸다. 갈수록 청년 인구 비중도 작아지고 있다. 동남지역 청년은 2000년 16.2%에서 2022년 13.5%로 줄었다. 반면 수도권은 2000년 49.2%에서 2022년 54.5%로 늘었다.
박 지사는 행정통합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박 지사는 “부울경이 초광역 경제동맹으로 광역행정, 광역공동업무를 추진하고 있다”며 “결국 부울경 통합으로 가야 하는데 과세권, 조직권, 자치권을 지방정부가 가져야 한다. 지역 정치인과 지도자가 똘똘 뭉쳐 함께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박형준 시장은 ‘메트로폴리탄’을 위한 경제동맹 추진전략을 발표하며 1시간 생활권으로 실질 통합을 이뤄내자고 했다. 박 시장은 “주변 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메가시티 즉 메트로폴리탄이 한 나라에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달라진다”며 “촘촘한 교통망으로 1시간 생활권을 만들어 실질적인 통합을 이뤄내야 하고 산업은행 이전·우주항공청 특별법은 지역 과제가 아니라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산대-경상국립대 통합을 제안했다. 박 시장은 “지식·문화 산업에서 제일 중요한 게 인재 양성이고 대학”이라며 “부산대와 경상국립대가 서로 영역 싸움할 여유가 없다. 통합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산에 해양수산 분야 싱크탱크 11곳이 있다. 경남지역 대학과 연계해 연구도 함께 해야 한다”며 “울산 유니스트(UNIST) 도움을 받으며 부울경이 함께 인재를 키워나가자”고 제안했다. 그는 “비록 2030세계박람회 부산 유치에 실패했지만, 그 에너지를 이제 부울경을 모으는 데 쓸 때”라고 말했다.
서정욱 부시장은 부울경 초광역 경제동맹 안에서 울산·경주·포항 해오름동맹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포항시 제철을 기반으로 경주 부품산업을 활용해 완전차를 만드는 구상을 하고 있다. 서 부시장은 “대범위가 부울경이고, 중범위가 해오름이다”며 “박 시장 말처럼 메트로폴리탄이 많아져야 한다. 해오름동맹으로 공급망이 효율적으로 재편하면 부울경 경제동맹까지 시너지가 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울경 경제동맹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며 “울산이 경제동맹과 해오름동맹 교집합 역할을 해내겠다”고 밝혔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지역에서 열린 ‘2023 울산 K-배터리 쇼’ 참석으로 불참했다.
KNN과 UBC, 동남권발전협의회가 이날 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