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취·정수 등 문제 해결책 대거 담아
AI활용 녹조 예측, 조류경보제 개선 추진
정수장 유출부에는 유충 차단 시설 설치
조류독소 감시·분석 항목 크게 늘리기로
취수원 다변화 타당성 용역도 발주 예정

독성 물질이 든 녹조는 물론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는 등 각종 오염 사례로 경남을 비롯한 낙동강 취수원 지역민의 먹는 물 정책에 불신이 크다.

환경부가 낙동강 물 문제 해결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 관심을 끈다. 환경부는 2일 발표한 물관리정책실 2023년 업무계획에 산적한 낙동강 물 문제 해결 대책을 담았다.

먼저 극심한 여름철 녹조 관리 종합대책을 추진한다. 그동안 축적한 녹조 발생 자료를 분석해 집중관리 지역을 선정한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녹조 발생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하고, 경보 지점 확대·독소 감시 강화 등을 바탕으로 조류경보제를 개선한다. 녹조 발생 시 로봇, 수상퇴치밭 등을 활용해 신속하게 제거하고, 취·정수장에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막을 설치해 수돗물 안전을 꾀한다.
 

▲ 지난 15일 낙동강 본포취수장이 녹조로 가득 덮였다. /낙동강경남네트워크
낙동강 본포취수장이 녹조로 가득 덮여있다. /경남도민일보 DB

수질오염 사고는 대응 위주에서 예방-대응-협력으로 구체화해 피해를 줄인다. 산업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수질오염 초기 유출수 차단에 필요한 완충저류시설을 추가로 구축한다. 낙동강 상류인 대구에 ‘수질오염사고 통합방제센터’를 구축하고 연 2회 환경부·지방자치단체·소방청 등이 참여하는 합동대응훈련을 펼친다. 미규제 수질오염물질 관리 강화를 목적으로 지난해 12월 준공된 김해 매리수질측정센터도 올해 가동한다.

지난해 창원시 진해구 석동정수장 깔따구 유충, 가정집 수돗물 녹조 의심 사례 발생 등으로 홍역을 치렀다. 이를 방지하고자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목적으로 취수원-정수장-배수관로-가정까지 상수도 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지능형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모든 광역상수도 정수장에 AI 정수 체계를 도입하고, 광역, 지방 상수도를 막론하고 지능형 관망관리 기반시설 구축을 완료한다.

올해 153개 정수장에 227억 원을 투입해 유출부 끝단에 유충 유출 차단시설(정밀여과장치 등)을 설치한다. 또한 유충을 정수장 감시 항목으로 지정해 감시를 강화한다. 조류독소 관리를 강화하고자 마이크로시스틴 감시 항목을 -LR 1종에서 모든 종으로 확대한다. 분석 항목도 기존 4종에서 6종으로 늘린다.
 

▲ 7일 오전 창원시 진해구 석동정수장에서 발견된 깔따구 추정 유충. /창원시
창원시 진해구 석동정수장에서 발견된 깔따구 추정 유충. /창원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도 꾀한다. 창원·김해 등 하류지역에는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해 주민 우려가 큰 사항 관련 과학적 조사·분석으로 연말까지 최적 취수방안(지점·물량·공법 등)을 찾는다.

아울러 댐·보·하굿둑 등 하천시설 연계 운영으로 수량과 수질을 통합 관리한다. 지난해 8월 3일~5일 제5호 태풍 ‘송다’(7월 31일~8월 1일)와 국지성 호우 영향으로 남강댐 수위가 홍수기 제한 수위를 넘기자 방류량을 늘렸다. 동시에 창녕함안보 수위를 낮춰 홍수와 녹조 위험에 동시 대응했다. 이 사례를 참고해 3월 중 댐·보·하굿둑 등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하천 시설 연계 운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통영 욕지도 등 섬이나 산간 지역에 맑은 물을 공급하고자 지하수저류댐 설치도 추진하기로 했다.

/김두천 기자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