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민일보가 곧 매립작업에 들어갈 마산해양신도시 조성공사를 알아보기 위해 4회에 걸쳐 시리즈물로 취재보도한 특집기사는 내용이 방만한 듯해 보이지만 핵심 쟁점은 매우 단순한 것이다. 관계기관인 창원시와 국토해양부가 여전히 개발논리에 얽매여 경제편의성을 고집하고 있는 반면, 신도시 반대 시민대책위원회는 미래 자산인 항만환경을 보전해가겠다는 기본 취지를 고수함으로써 논란이 재생산되고 있는 것이 그것이다.
애초 신도시계획과 매립구상이 밝혀진 후 대책위를 구성한 시민사회는 계획철회를 요구하면서 전면적인 저지투쟁을 폈지만 강행과 양보가 거듭되면서 지금은 매립면적을 최소화하는 선까지 물러선 상태임은 어쩔 수 없다. 아마도 대책위는 최후의 보루로 삼아 배수진을 칠 각오를 세우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정부나 자치단체의 정책적 경직성을 고려하면 일단의 도시계획이 얼마나 더 여론에 귀를 기울일 것인지는 알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시민대책위의 마지막 논점이 될지도 모를 가포매립지 앞 수심은 그러므로 해양신도시 문제를 둘러싸고 빚어진 민과 관의 갈등이 어떤 형태로 단락되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시험대이기도 하다. 수심을 12m로 유지하면서 거기서 걷어낸 준설토를 해양신도시에 매립할 경우 매립면적을 많이 줄일 수 있다는 대책위의 제안은 2차 방정식에 불과한 그야말로 상식적인 셈법이다. 그 같은 논법은 매립은 어쩔 수 없으나 바다 수면이 줄어드는 인위적 훼손을 될 수 있는 한 줄여보자는 친환경적 시민단체의 충정심의 발로다.
국토해양부는 처음에는 수심 13m까지 준설토를 파낼 계획이었지만 12.5m로 하향조정함으로써 이제 시민대책위와의 의견차는 0.5m로 좁혀졌다. 그러나 이 차이는 소통할 수 있는 이웃집 간의 담 높이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높은 것이다.
근본적으로 관계당국은 마산해양신도시 매립면적을 더 줄일 수 있는 의사를 전혀 갖고 있지 않는가, 아니면 숨기고 있는 것인가. 매립용 준설토 예정지인 가포 앞바다의 수심 여부를 놓고 관계당국과 시민사회가 어떤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