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 매립시작] (4)매립 최소화 또 다른 방안 없나

"마산만을 조금이라도 더 살려야 하지 않겠습니꺼. 부흥도 좋고 영광도 좋은데 내가 사는 곳의 환경이 제일 중요하지예."

"해양신도시 말로만 들었는데 공사 모습을 보니 실감이 나네예. 어떻게 해서든 마산만을 죽이면 안됩니더."

12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운동 선착장에서 만난 이모(57) 씨는 마산해양신도시 호안축조공사 현장을 가리키며 말했다.

마산해양신도시반대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는 이처럼 오랫동안 직접 주민을 만나고 해양신도시 실체를 알리고 있다. 마산만을 조금이라도 더 지키고 싶다는 이유 하나 때문이라고 했다. 이들은 매립면적을 최대한 줄일 방법을 검토하고 있고, 창원시 또한 그래야 한다고 요구한다.

12일 마산합포구 해운동 선착장에서 만난 주민은 마산해양신도시 호안축조공사를 가리키며 마산만 오염을 걱정했다.

시민대책위원회가 내세우는 매립 최소화 방안 중 하나가 준설토 투기 방법의 변화다. 해양신도시 중에서 공원처럼 매립지 위에 건물이 들어서지 않을 곳에 최대한 준설토를 투입해 전체적인 매립면적을 줄이자는 것이다.

이에 대해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임희자 사무국장은 "해양신도시 토지이용계획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기본계획을 보면 공원과 건물이 들어서는 부지로 나뉜다. 지반을 조성하는 방법이 다를 것"이라며 "그렇다면 공원부지에는 준설토를 많이 투입하자"고 제안했다. "지반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라면 준설토와 토사 비율을 충분히 조정할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창원시에 따르면 마산해양신도시 면적의 65%가 공공용지다. 여기에는 공원과 해양테마파크 등이 들어설 예정으로 공원 부지는 전체 19만평 중 약 9만 평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환경단체는 매립 순서를 육지에 가까운 곳부터 진행하자고 했다. 2015년까지 매립이 진행되는데 앞으로 논의를 통해 매립 규모가 변경될 수 있고, 마산만을 한 평이라도 더 살리려면 호안축조부터 육지와 가까운 곳에서 시작하자고 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 해양개발사업소는 대체시설이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에 육지와 가까운 곳부터 매립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마산지방해양항만청이 사용하는 부두와 마산연안여객선터미널, 개인사업장 등이 이전할 대체시설이 없다는 것이다. 마산연안여객선터미널은 내년 6월 폐쇄될 예정이지만, 아직 대체시설은 확정되지 않았다.

해양개발사업소 관계자는 "환경단체가 매립 방법을 거론하는데 현재 토지이용계획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르게 적용할 수 없다. 또 공원에도 도로 등 기반시설이 있기 때문에 준설토를 많이 사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마산해양신도시반대시민대책위원회는 그동안 시민단체가 창원시에 매립모형과 면적, 이용계획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은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매립 방법과 시기 등이 차이 나기 때문이었다며 지금이라도 마산해양신도시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후 공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는 10월 마산해양신도시 호안축조공사가 완료되면 준설토 투기가 시작된다. 공사를 진행하는 현대산업개발은 준설토투기장에 사용할 토석을 고성군에서 채취해 사용하고 있다.

창원시는 이르면 오는 12월 도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부터 메울 계획이다. 방법은 가포신항 부두 앞에서부터 퍼올린 준설토를 투기하면서 자연 침하시킨다. 이미 시작된 마산만 매립작업, 면적을 최소화할 만한 여지는 있다. 〈끝〉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