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어도 묵인 있었을 것" 장관실 오락가락 해명 의혹 '증폭'

이봉수 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이재오 특임장관과 특임장관실 공무원 3명을 검찰에 고발했다. 

권태홍 선대본부장은 25일 오전 창원지검에 고발장을 제출했으며, "특임장관실 공무원들이 한나라당 김태호 후보를 지원하는 선거 개입 활동을 조직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재오 장관의 지시나 공모 행위, 적어도 묵인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지난 24일 선관위 고발장 제출에 이은 후속 조치로, 특임장관실 직원들의 출장명령 복명서와 수첩 주인의 모습이 담긴 CCTV 화면이 공개되는 대로 선거법 위반 여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권태홍 국민참여당 4·27 김해선거대책본부 선대본부장과 국민참여당 관계자들이 25일 오전 특임장관실에 대한 고발장을 창원지방검찰청 민원실에 제출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경남도 선관위 관계자는 "만약 수첩 주인이 특임장관실 공무원으로 확인되면 공직선거법 위반 사례가 분명하다"고 밝혔다. 수첩 속에 유권자를 상대로 한 '지지도 조사'가 명시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임장관실은 오락가락 해명을 하고 있어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최초 '특임장관실 수첩' 건이 알려졌을 때, 특임장관실은 대변인실 명의의 보도자료를 통해 "특임장관실은 이번 선거와 관련해 특정 지역에 직원을 파견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임장관실 수첩은 9000부가량 제작돼 그동안 내방객 및 행사 참석자 등에게 선물, 새해 선물 등으로 6500부가량이 배포됐다"며 친절한 설명도 덧붙였다.

그러나 특임장관실 소속 모 서기관이 수첩 주인임을 입증하는 각종 정황이 밝혀지자, 특임장관실은 "선거에 관여한 바가 없다"고 말을 바꿨다.

사실상 특임장관실 공무원이 수첩의 주인임을 우회적으로 인정한 것으로 읽힌다. 하지만 이에 대해 특임장관실 채성령 대변인은 "공식적으로 (직원을) 파견하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밝혔으며 "선관위와 검찰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조사 결과에 따라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최초 "직원이 김해에 간 적 없다"고 했다가 "공식적으로 파견하지 않았다"는 해명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특임장관실 스스로가 선거 개입 의혹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여기에다가 최근 이재오 장관이 친이계 의원들과 함께 '선거 작전 회의'를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 '특임장관실이 김태호 후보에 대한 지원 활동을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봉수 후보 선대위 천호선 대변인은 "애초에 정당한 정보 수집 활동이라고 해명했으면 특임장관실의 특성상 충분히 수긍할 수 있었는데, 사실무근이라고 피해갔다"며 "선거 개입 의혹을 제기할 수밖에 없는 일 아니냐"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