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 현장 최초 '쾌거'… 역사 고증 통해 6개월 내 정식지정 결정
경남도가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를 경남도문화재로 가지정했다.
도는 8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중앙부두 일원에 있는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를 경남도문화재(기념물)로 가지정했다고 밝혔다.
문화재로 가지정하면 지정 문화재와 똑같은 효력이 발생하지만 가지정한 날로부터 6개월 안에 정식 지정이 되지 않을 경우 자동 해제된다.
도 관계자는 "현대사 역사 현장을 지방자치단체가 문화재로 지정한 것은 전국에서 처음"이라며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는 1960년 3·15의거에서 1960년 4·19혁명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사건이 벌어진 중요한 현대사 현장일 뿐만 아니라 '민주성지'라고 자부하는 지역민의 정서적 배경이 된 장소로, 전국에서 역사현장으로 답사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고 가지정의 의미를 설명했다.
앞으로 시신 인양지를 경남도 기념물로 정식 지정하려면 △최초 발견 지점과 시신을 인양해 안치한 부두 등 역사적인 고증을 통해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지정면적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검토 △김주열 열사 유족회·문중, 기념사업회 방문·조사 △당시 재판기록 등을 경남도가 조사한 다음 '경상남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 지정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앞서 지난 10월 말 김주열 열사 추모사업회는 시신 인양지를 국가 문화재로 지정해달라는 기자회견을 연 것을 시작으로 11월 초 경남도 지정문화재 가지정을 요청하는 기자회견도 개최했다.
![]() |
||
이에 경남도는 지난달 3일 국가지정문화재 신청을 한 데 이어 지난 1일 현대사 전문가를 포함한 경남도 문화재위원과 함께 현장 조사를 벌인 결과, 현장 훼손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 우선 경남도문화재로 가지정했다.
이로써 앞으로 경남도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계속 추진할지, 경남도문화재로 정식 지정 절차를 밟을지는 유동적이다.
이에 대해 김주열열사추모사업회 김영만 전 대표는 "정말 반갑고 기쁜 일"이라면서 "시신인양지가 정식 문화재로 지정될 경우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민주화운동 사적이 된다는 의미와 함께 중앙부두 일대가 무분별하게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 일대를 민주공원으로 조성하면 민주주의전당을 유치하기 위한 조건도 유리해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