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 뒤 첫 대규모 집회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경남지역조합 시민버스 지부(지부장 정차원)는 29일 오전 마산 남부시외버스터미널 부근 시내버스 공동배차실 앞에서 '체불임금 지급 요구와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고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정차원 지부장은 대회사에서 "7년 넘는 임금체불로 말미암아 노동자 대부분이 아파트 관리비와 가스료를 못 내고, 심지어 아이들 급식비도 제대로 주지 못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면서 "게다가 조합원 대부분이 신용불량자가 됐다. 너무나 답답해서 이렇게 거리로 나오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덕우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경남·울산지역 노동조합 위원장도 격려사를 통해 "무능한 경영진을 반드시 퇴진시켜야 하고, 동지 여러분의 땀은 회수돼야 한다"며 "이 시점을 기해 여러분의 체불임금 문제와 일터 마련을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힘을 실었다.
결의대회에 이어 월영광장→마산 중부경찰서 앞→시청광장까지 대규모 행진이 이어졌다. 100여 명의 시민버스 노동자는 행진을 하면서 '근로자 임금강탈 추한식, 추헌기를 구속수사하라!', '대중교통 부실행정 통합시장 후보가 웬 말이냐!' 등 구호를 외치며 시민을 대상으로 선전전을 펼쳤다.
이날 정오께 시민버스 노조 대표 7명이 시청 3층 상황실에서 조광일 건설교통국장 등을 면담했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
한편, 시민버스 지부는 지난 18일 추한식 대표이사를 임금체불과 관련해 노동부 창원지청에 고발했으며, 22일에는 마산 중부서에 노동조합비, 운전자 보험 등 2700만 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고소장을 접수했다.
시민버스 지부 전영두 사무국장은 "우리 노동자는 면허취소, 파산신청, 제3자 양도양수 등에 따라 투쟁할 수 있을 뿐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며 "게다가 체불임금 15억, 퇴직금 등 50억 원 가까이 못 받을 처지에 놓여 있기 때문에 노동자들이 격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전 국장은 또 "지난 26일 추한식 대표이사가 47대의 버스를 매각하는 조건으로 캐피털 등 25억~26억 원에 이르는 빚을 갚고, 나머지 돈으로 체불된 임금을 없애면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노조에 해왔었다"면서 "하지만, 조합원들은 '기껏 1000만~2000만 원 정도 받고자 우리가 이렇게 투쟁했었느냐!'라며 즉각 반발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추한식 대표이사와의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 밖에도 29일 현재까지 13일째 시민버스 47대 버스(상용) 운행이 전면 중단됐지만, 마산시에서 마산·창원 버스업체 소유 예비차량 32대를 투입하고 준공영제 노선과 배차 간격을 조정해 시민 불편은 없었다.
시민버스는 지난 1954년 1월 19일 설립됐으며, 면허 대수는 51대(일반 39, 좌석 12), 운수종사자 113명, 관리직 26명 등 139명이 일하고 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민병욱 기자
min@idomin.com
2024년 7월 8일부터 논설여론부장(후원회원 및 대외협력 담당) 맡고 있습니다. 010-5159-9102.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