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시민버스가 지난 16일 최종 부도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또 부도 소식이 알려지자 시민버스 노동자도 '더는 부도난 회사에 돈을 벌어다 줄 수 없다'며 17일 오전부터 전면 운행거부에 들어가는 등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17일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경남지역조합 시민버스 전영두 사무국장은 "17일 오전 5시를 기해 전면 운행 거부에 돌입한 상태"라며 "엊그제 회사가 어음으로 끊어 준 퇴직금 1700만 원을 막지 못했다. 오늘(17일) 오후 지부장과 대의원이 회장실로 찾아가 추한식 대표이사에게 1차 부도인지, 2차 부도인지 물었는데, '부도면 부도 1~2차 어디 있느냐?'고 말했다"고 밝혔다.

전 사무국장은 또 "추 대표이사는 현재 체불임금에 대해 건물을 매각해야 한다는 말만 되풀이할 뿐 아무런 대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노동조합은 17일 오후 2시 10분 노조 교양실에서 조합원 총회를 열고 지부장 등 집행부 3명, 대의원 7명, 현장 조합원 4명으로 이뤄진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앞으로 비대위를 중심으로 법적 대응 등 향후 투쟁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멈춰 선 시민의 발. 체불임금 지급 문제 등으로 마산 시민버스가 운행 중단에 들어간 17일 오전 마산 가포동 차고지에 운행을 멈춘 버스가 가득 차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
노조는 이에 앞서 오전 마산시청에서 황철곤 시장과 간담회를 하고 '15억 체불임금 해결'을 요구했다. 하지만, 시는 "준공영제 지원금·유가보조금·무료 환승금 등을 합해 1억 5000만 원은 선지급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추한식 대표이사는 한 지역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으로서는 방법이 없고, 폐업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취재진은 추 대표이사와의 전화통화를 시도했지만,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