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1년 제10차 유엔사막화 방지협약 당사국 총회가 경남에서 열리게 됐다. 지난해 람사르총회에 이어 또 하나의 환경 국제회의를 경남이 유치한 셈이다. 경남도와 산림청은 차기 개최지로 확정된 데 대해 남다른 자부심을 내비치며, 환경과 경제유발 효과가 대단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막화는 토지의 생물 잠재 생산력이 저하되거나 파괴된 결과 최종적으로는 사막 상태로 가는 현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목장의 생산력이 떨어지고 건조 농업이 불가능해진다. 관개지는 물의 염해로 못쓰게 되고 토양의 생산력은 현격히 저하된다. 사하라사막 남부 사헬 지대나 나이지리아, 남아시아, 미국, 중동지역 등을 중심으로 지구에서는 해마다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주요한 사막의 합계 면적은 지구상 육지 면적의 10%를 웃도는 약 1600만㎢이다.

피해가 심각해지자 지난 70년대부터 국제사회가 사막화를 막을 대책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1994년 파리에서 열린 49차 유엔총회에서 사막화 방지협약을 채택하고, 6월17일을 사막화 방지의 날로 정했다.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녹화사업을 추진하고 토양의 황폐화를 막고자 사막녹지화를 추진해오고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사막은 없으나 중국 고비사막과 타클라마칸사막에서 발생하는 황사, 북한의 산림황폐화 등으로 사막화가 문제가 되는 상태다. 그래서 경남의 사막화 방지협약 당사국총회 개최는 그 자체로 충분히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환경단체나 환경에 관심 있는 도민들이 외면하거나 냉소적인 눈으로 바라보는 게 현실이다. 경남도의 진정성을 의심하기 때문이다. 겉 다르고 속 다르며, 김태호 지사의 정치적 치적 쌓기에 불과하다는 시각이다.

이미 경남도의 이중적인 환경 마인드가 반환경적 4대 강 사업을 강행하는 이 정부와 밀접하게 닿아있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아는 일이 되어 버렸다. 따라서 경남도가 할 일은 자명하다. 진정성이 느껴지도록 환경정책을 추진할 것과 표리부동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는 일이다. 기대와 동시에 우려를 표하는 다양한 시선을 겸허히 수용, 이름에 걸맞은 총회개최국의 면모를 갖추도록 애써야 한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