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악의 해안 오염지역으로 불렸던 마산만이 20년간 지속적 환경관리 시행으로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린다. 1960년대에 시작된 도시화로 오염의 길로 들어섰던 마산만 생태계가 자연 복원력을 발휘하는 과정은 다른 지역엔 타산지석이 될 것이다.
마산만의 황폐화는 197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기존 해안을 대규모로 메우고 공장을 짓다 보니 이전부터 존재해왔던 천연 갯벌과 습지 대부분이 사라졌다. 특히 외해와 통하는 마산만 입구가 좁아지면서 오염물질이 좁은 내만에 갇히고 축적되는 일이 반복적으로 벌어져 마산만 오염은 불가항력과 같은 전재 정도로 여겨졌다. 하지만, 마산만 오염은 ‘천재’가 아니라 한낱 인재에 불과하였을 뿐이다.
특정 해역 수질 정화와 관리를 위해선 바다에 방치된 부유 쓰레기 청소와 같은 임시 대응이 아닌 오염원 조사·배출구 실태 파악·해수 흐름 분석 등과 같은 구조적 진단이 있어야 한다. 해역관리를 과학적으로 하려면 우선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현실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런 진단과정을 거쳐 지난 2005년 마산만에 ‘연안오염총량관리제(오염총량제)’라는 제도가 전국 최초로 시범 적용되었다.
오염총량제란 바다가 감당할 수 있는 ‘허용부하량’을 먼저 계산한 이후 개발과 배출을 그 총량 이내로 조정하고 제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이 아무리 설득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지역사회 시민들의 자발적 협조와 참여가 없으면 실현 불가능했다. 2005년에 해양환경개선 대책·시행을 논의하는 해양수산부 산하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가 출범했다. 중앙정부·지자체·산업계·학계·시민사회가 참여해 구체적 사업 실행으로 나아갔다.
특히 시민단체들이 나서서 오염 모니터링, 불법 배출 감시, 정화 활동을 벌였고 ‘마산만을 수영할 수 있는 바다로 만들자’는 구호까지 만들어 시민들을 설득했다. 이런 노력의 결과 마산만의 수질이 조금은 개선되었지만 이 상태에서 만족할 수는 없다. 더 많은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해 수질 개선을 위한 장기전략을 세워야 한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