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E1 전차. /현대로템 제공
K1E1 전차. /현대로템 제공

우리 군의 주력 무기 중 하나인 K1 전차 성능 개량 사업 예산이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빠지면서 도내 방산기업의 피해가 우려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중소협력업체협의회(이하 협의회) 소속 35개 협력사는 12일 국회 국방위원회 및 예산결산위원회, 방위사업청에 K1E1 전차 성능개량 및 창정비 예산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해달라는 내용의 호소문을 전달했다.

군은 30년 이상 운용해 노후화된 K1E1 전차의 창정비(방산 제품을 해체 수리 후 신품 수준으로 복원하는 정비 작업)와 성능 개량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10년 동안 1조 2000억 원을 투입해 포수조준경은 신형으로 교체하고, △냉방장치 △양압장치 △보조전원공급장치를 탑재해 노후 전차인 K1E1 전차의 전투력을 최상의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복안이었다.

하지만, 내년도 예산안에는 인공지능(AI)과 무인무기체계, 정밀타격시스템 등 첨단 전력을 우선한다는 기조에 따라 K1 전차의 성능 개량 예산이 반영되지 못했다.

협의회는 “방산업계 특성상 협력업체의 일감이 제한적인데, 국내 전차 전력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는 K1E1 전차의 성능 개량 사업이 무산되면 중소 협력사에 직접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하고 있다.

K1 전차 생산을 위해 현대로템과 납품 관계를 맺은 1차 중소 협력사는 117개에 달하고, 이중 경남 지역 업체가 전체의 40%(47곳)를 차지한다.

일부 업체는 이번 사업에 대비해 100억 원 규모의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부품을 미리 준비한 업체도 있어 최대 1조 원의 매출 손실이 우려된다.

협의회는 “K1 전차 성능 개량 사업을 위해 일부 부품을 선발주했고, 시설 투자를 진행했는데, 사업이 무산되면 손실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며 “창원 지역 협력사의 경영 악화는 고스란히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호소했다.

한 협력업체 관계자는 “K1 전차의 성능 개량 사업이 무산 위기에 놓이면서 회사가 존폐 위기에 몰렸다”며 “K1 전차의 성능을 개량해 개발도상국에 수출할 수도 있는 만큼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될 수 있게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K1E1 성능 개량 예산은 예산결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될 지가 결정된다.

/주찬우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