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민주전당) 전시 내용과 운영이 잘못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창원시도 전시 내용 개편에 나서고 있다. 다른 지역 민주화운동기념관의 사례를 참조해 애초 설립 취지에 맞게 전시 내용을 제대로 개편해야 한다.

민주주의전당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업의 하나로 서울, 광주, 창원(당시 마산)이 유치경쟁을 벌였다. 서울에 남영동 대공분실을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조성하고, 광주에도 5.18기념관과 5.16민주화운동기록관이 설립되면서 창원에 국비를 121억 원이나 투입해 국가적 사업으로 민주주의전당을 건립했다.

그러나 민주주의전당의 전시내용이 민주화운동을 충실히 담지 못했고, 비민주적·극우적 언행자를 운영자문위원으로 선임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창원시는 임시 개관으로 대처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민주주의전당이 영유아 중심의 키즈센터로 운영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조례를 만들면서, 시의회 독단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에 없는 ‘시민들을 위한 문화복합공간 운영’을 넣었고 결국 민주화 관련 전시 공간은 뒷전에 밀렸다. 조례 기능에서 ‘시민들을 위한 문화복합공간 운영’ 부분을 삭제해야 한다.

창원시는 민주주의전당 설계·시공 단계에서 점자 안내나 촉각형 전시물, 음성 전시 해설, 수어 영상 등 ‘장애인 관람 편의’ 기준도 지키지 않았다. 전시를 개편하면서 장애인 이용 지원체계를 보완하고 장애인 화장실 접근을 위한 시설도 개선해야 한다.

창원시는 내년도 시 예산안에 민주주의전당 전시 내용 개편 관련 용역비 8000만 원을 편성했다. 시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내년 용역 결과를 토대로 전시 콘텐츠를 보강하는 등 문제를 해소해 나갈 방침이라고 한다. 용역이 올바로 수행되려면 개편에 관한 의견을 취합하는 공개 행사 등을 거쳐 용역의 기준을 미리 정해야 할 것이다. 국가적 사업인 만큼 시민이 민주전당 운영에 구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체계도 만들어야 한다. 명칭도 시의회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해 어색한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대신 시민 공모로 제안된 ‘한국민주주의전당’으로 바꿔야 할 것이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