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에 세워진 대한민국민주주의 전당이 임시 개관한 지 3개월이 지났지만, 정식 개관을 미루어지고 있다.

창원시장 권한대행인 장금융 제1부시장은 창원에 세워진 민주주의전당을 복합역사문화 공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우연히 마산만을 들른 사람들을 대상으로 마산의 역사를 알리겠다는 취지이다.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발상지는 세 군데다. 3.15 의거와 10.18 부마항쟁이 발생한 마산, 4.19혁명과 1987년 6월 항쟁이 일어난 서울, 1980년 5월 민주화 운동이 일어난 광주 등이다.

서울에는 민주화운동운동기념사업회가 민주화운동기념관을 운영 중이고, 광주에는 기념관보다는 기록관의 이름으로 운영하고 있다. 마산에는 국립3.15민주묘지에 전시공간과 3.15아트센터가 있지만,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기록, 전시, 교육 공간에는 못 미친다는 판단으로 민주주의 교육을 전면에 내세운 민주주의전당이 건립되게 됐다.

서울에 세워진 민주화운동기념관은 ‘독재정권의 어두운 역사와 이를 극복한 민주주의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천명하고 있다. 민주화운동기념관은 토크 콘서트, 시민강좌, 해설사, 교사연수를 운영해 민주주의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민주주의 전당은 1~2개월에 1회씩 개최되는 강의 외에는 교육프로그램이 보이지 않는다.

이에 대해 민주화운동단체 및 일반 시민사회단체, 민주당 중심의 정치권, 언론에서 시정을 요구하는 질타가 1여 년 이상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창원시와 시의회, 그리고 공동으로 재원을 투여한 행정안전부와 경남도는 이를 외면하고 있다.

창원시는 앞으로 보완한다는 입장만 내어놓고 있으며, 창원시의회 일부 의원들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를 폄하 왜곡하는 발언을 일삼고 있어도 시의회는 사실상 방관해 동조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3.15의거와 부마항쟁을 이용해 대한민국 국민들의 혈세를 축내고, 민주주의전당 건립 때 약속한 신의성실의 원칙을 어긴 창원시의 행태가 개탄스럽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