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135가구 221명 아직 대피소 생활

실종사 수색은 장기화, 여전히 오리무중

산청지역 호우 피해 응급복구율이 90%를 넘겼다. 공공시설 응급복구가 막지막 수순을 밟으며 주민 일상 회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구연 기자
산청지역 호우 피해 응급복구율이 90%를 넘겼다. 공공시설 응급복구가 막지막 수순을 밟으며 주민 일상 회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김구연 기자

 

산청지역 호우 피해 응급복구율이 90%를 넘겼다. 공공시설 응급복구가 막지막 수순을 밟으며 주민 일상 회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산청군은 12일 오전 9시 기준 공공시설피해 1026건 중 응급복구 928건 완료해 응급복구율 90.4%를 보이고 있다. 군은 막바지 응급복구 작업에도 속도를 내 8월 중 응급복구를 마칠 계획이다.

주요시설 응급복구율을 살펴보면 82건 피해가 발생한 도로는 응급복구를 모두 마쳤다. 산사태(94건)와 소규모 공동시설(407건)은 복구율 97%로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이 밖에도 수리시설(105건) 95%, 기타 시설(93건) 90% 복구율을 보이고 있다. 11건 피해가 난 상하수도 시설은 73% 복구율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복구 작업에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군은 이달 5일까지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 피해시설 전수 입력을 완료했다. 조사 결과 공공시설 1026건 3800억 원, 사유시설 3만 3638건 1303억 원 피해가 발생했다. 사유시설 피해는 농경지 625㏊ 9722건을 비롯해 농작물 1191㏊ 1만 2377건, 농림·축산시설 4719건, 주택 803건, 산림작물 등 3762건, 가축입식 등 2255건 등이다.

산청지역에는 이번 호우 피해로 아직 135가구 221명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대피소 생활을 하는 이들은 대부분 주택 피해를 본 주민들로 산청읍·시천면·신안면·생비량면·신등면 지역 주민이다. 이들은 선비문화연구원, 마을회관, 지자체가 지원하는 숙박시설 등 16곳에서 생활하고 있다. 

땅 밀림 현상으로 마을 전체가 내려 앉은 산청군 생비량면 상능마을. /김구연 기자
땅 밀림 현상으로 마을 전체가 내려 앉은 산청군 생비량면 상능마을. /김구연 기자

 

땅밀림 현상으로 마을 전체가 내려앉은 생비량면 상능마을은 집단 이주가 추진되고 있다. 마을 주민 13가구 16명은 한 숙박시설(모텔)에 머물고 있다. 김광연 상능마을 이장은 "마을 이주는 정부 복구 계획에 최종 승인만 남은 상태로 알고 있다"며 "마을 주민 대부분이 70~80대 노인들로 빠른 시일 내 마을 이주가 진행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군은 응급복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산청읍 행정복지센터에 차렸던 '호우 피해 통합지원본부'를 광복절을 전후해 군 청사로 이관할 계획이다. 통합지원본부에서 해왔던 일은 군 청사에서 그대로 수행한다.

이승화 군수는 "복구작업으로 공공시설 기능을 조속히 회복해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겠다"며 "2026년 우기 전까지 복구 사업을 마무리해 재해 예방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은 정부 복구 계획과 금액이 확정되는 대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복구 작업은 단순 원상복구를 넘어 근본적인 시설 개선에 초점을 맞춰 유사 사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실종자 수색 작업은 여전히 난항이다. 수색이 시작된 지난달 19일부터 지금까지 1만 1000여 명이 넘는 수색 인력과 헬기·드론 등 3000여 대 장비를 동원됐지만 실종자를 찾는 데는 실패했다. 경남도는 10일부터 수색에 투입하는 인력을 줄이고 있다. 당초 산청소방서와 119 특수대응단 등 13~15개 소방서 인력과 장비가 투입됐으나, 이날부터 산청소방서, 진주소방서, 사천소방서, 해경을 중심으로 수색 작전을 운영하고 있다. 수색에는 드론과 구조견 등을 투입하고 있다.  

/김태섭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