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해나 국가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우리 국민의 자발적인 연대와 자원봉사 참여는 늘 놀라움을 준다. 폭우로 큰 피해를 본 산청·합천·하동·의령 등 지역에 전국 각지에서 자원봉사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산불 피해가 컸던 경북지역 주민들도 복구 지원에 힘을 보태며 따뜻한 연대를 실천하고 있다.
정치권이 입버릇처럼 외치는 '국민통합'은 종종 정파적 득실에 따라 국민을 동원하는 구호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웃의 고통 앞에 주저 없이 팔을 걷는 시민들의 행동에는 이념도, 지역도 없다. 군인·경찰·소방대원은 물론 일반 시민과 민간단체들까지 수해 현장에서 함께 땀을 흘리고 있다.
26일 산청군에는 하루 2800여 명이 넘는 자원봉사자가 참여했다. 침수된 비닐하우스에서 철근을 제거하고 진흙이 가득한 집 안팎을 치우며 쓰레기를 분리해 나르는 등 복구 현장은 말 그대로 구슬땀의 연속이다. 커피를 나누고 음식을 제공하는 자원봉사도 있다.
경북안전기동대 남부지대 대원 40여 명도 산청 신안면을 찾아 비닐하우스 폐기물 수거와 철거 작업에 나섰다. 굴착기 등 장비를 동원한 이들은 복구 전문가로 구성돼 효율적인 지원을 이어갔다. 이들은 "3월 경북에 대형산불이 발생했을 때 산청에서도 화재 피해를 봤음에도 경북까지 찾아와 복구에 힘을 보태줬다"며 "이번에는 자신들이 보답할 차례"라고 말했다.
자원봉사자의 헌신이 안전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지자체의 역할도 중요하다.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이동형 쉼터 설치, 냉음료 비치, 간이화장실 마련은 물론, 만일을 대비한 응급차량과 의료키트 준비도 필수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안전을 고려하고 편의시설을 세심히 살펴야 한다. 시민 자원봉사를 단지 '좋은 마음'에 기대선 안 된다.
자연재해는 국가가 책임져야 할 영역이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선다고 해서 행정의 책임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시민 연대가 빛날수록, 행정의 대응은 더 신속하고 실효성 있어야 한다. '국민통합'은 선언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땀과 연대, 그리고 책임이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