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비정규직노조 경남지부 대책 마련 촉구...28일 서울서 전국대회

학교 급식실 인력난과 방학 중 무임금 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부와 교육당국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남지부는 26일 오전 경상남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열악한 처우 개선을 요구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남지부 조합원들이 26일 경상남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급식실 폐암 산재 대책 마련과 방학 중 무임금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문정민 기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남지부 조합원들이 26일 경상남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급식실 폐암 산재 대책 마련과 방학 중 무임금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문정민 기자

노조는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으로 새 정부가 들어섰다"며 "무장한 군인들과 장갑차로 민주주의가 짓밟힌 '내란의 밤' 이후, 시민들의 힘으로 이뤄낸 정권 교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대선의 제1 과제는 내란 극복과 민주주의 회복이었으며, 새 정부는 시민들이 부여한 과제를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학교 비정규직이 교육의 핵심 인력임에도, 기본급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으며, 방학 중 무임금으로 생계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졸속적인 늘봄정책과 현장 혼란 속에 업무는 과중되고 있다"며 "방학 중 비근무자의 생계 문제는 해결 없이 방치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급식실의 산재 문제도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학교 급식실 폐암 산재 175명, 사망 13명"이라며 "교육당국의 방치 속에 최근 몇 달 새 산재 사례가 또 늘었다. 앞으로도 안타까운 죽음은 계속될 것이라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죽음의 그림자, 방학 중 무임금, 고강도 압축 노동으로 골병과 사고가 일상화되면서 급식실은 기피 일자리가 됐다"며 "경남지역도 급식인원 채용 미달과 중도 퇴사자가 속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급식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말하는 민생 현장"이라며 "대선 당시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의 약속'으로 내건 1호 정책협약이 바로 학교 급식 위기와 비정규직 저임금 구조 해결이었다"고 상기시켰다.

이들은 "정부는 폐암, 무임금 등 고통 속에서 죽어가고 있는 급식실 현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며 "교육청도 책임을 미루지 말고 근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죽음의 급식실을 끝장내고, 지속 가능한 무상급식과 저임금 구조 해소를 위해 6만 조합원의 단결된 목소리를 서울 도심에 울려 퍼뜨릴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는 오는 28일 서울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자대회'를 열고, 정부와 교육당국에 책임 있는 대책을 촉구할 계획이다. /문정민 기자 

키워드
#경남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