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말을 듣자마자 미간이 찌푸려졌다.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은 12일 창원광장 인근에서 출정식을 열었다. 단상 위에 오른 선대위원장들은 하나같이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강조했다. 그 말을 여러 번 되뇌면서 현장에서 빠져나왔다. 나는 왜 자꾸만 그 말이 불편하게 들리는 것일까.

이날 민주당 경남도당은 경남 지역 대선 득표율 1위를 기록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전례 없던 일이다. 경남은 대선에서 민주당에게 절반 이상의 표를 내주지 않았다. 17대부터 20대 대선에 이르기까지 적게는 노무현 27.8%(43만 4642표), 많게는 이재명 37.38%(79만 4130표)를 얻은 게 전부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을 해볼 만한 싸움이라는 생각을 넘어서 승리를 확신하는 듯하다. 벌써 기록 경신을 운운하니 말이다. 경남도당은 '40% 득표율, 90만 표 획득, 경남 1등'을 목표로 세웠다. 그럴 만도 한 게 내란의 책임이 있는 국민의힘이 실책을 거듭했고, 범야권이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고 있어서다.

그래도 '압도적인 정권교체'라는 말은 거슬린다. 단순히 오만함에 대한 괘씸한 감정에서 나온 생각이 아니다. 선거 유세 현장에서 공약은 잘 보이지 않고 내란 세력을 척결해야 한다는 구호가 난무한다. 이 후보는 모든 시민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는 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면서 '기본 사회'를 강조했다. 그러나 10대 공약에서 기본 사회는 빠졌다.

이 후보는 민주당을 '중도 보수'로 규정했다. 보수층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행보도 이어지고 있다. 부자 증세에 유보하는 태도를 보이거나 개발과 성장 중심 공약을 쏟아냈다. 성평등 의제도 제대로 담아내지 못했고 개헌 논의도 뒤로 미루고 있다.

계속 이런 식이라면 이 후보는 '광장의 후보'가 결코 될 수 없다. 범야권도 다시 생각해 볼 문제다. 김재연 진보당 후보가 단일화를 위해 사퇴한 줄도 몰랐던 이 후보가 진보 진영과 연대하고 선거제도 손질에 나서주겠나.

민주당은 대선 후보로 등록한 때부터 재판을 정지하는 형사소송법 개정까지 추진하고 있다. 공직선거법 위반, 위증교사, 대북송금 등 5개의 재판을 달고 있는 이 후보를 위한 법이라는 비판이 자자하다. 민주당에 압도적인 정권교체를 안겨주기에는 너무 위험해 보인다. 민주당이 정권교체에 성공할지, 이번에 이기더라도 내년 지방선거까지 계속 지지를 받을지는 모를 일이다. 민주당은 아직 저울 위에 있다.

/김다솜 자치행정1부 기자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합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종료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