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두고 자치분권 개헌 주요 과제로 공동대응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와 경부울 경제동맹 핵심시설
경남·부산·울산 3개 시도가 대선을 앞두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이하 부울경 광역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박성준 경남도 교통건설국장과 임경모 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 김석명 울산시 교통국장은 1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방문해 부울경 광역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를 건의했다. 부울경 광역철도는 사업비 3조 424억 원을 들여 부산 노포에서 동부양산인 웅상지역을 지나 KTX울산역을 잇는 48.8㎞ 구간에 건설할 예정이다. 광역철도 건설 사업은 2021년 6월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고시됐고, 같은 해 8월 국토교통부 핵심 선도사업에 선정되면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애초 계획했던 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가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사업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날 3개 시도 담당 실국장들은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 공동화로 우리나라 지방소멸을 바로잡으려면 철도 중심의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망 확충이 필수"라며 "부울경 광역철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시켜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경남·부산·울산 시도지사 역시 대선을 앞두고 열린 제3회 부울경 정책협의회에서 공동 입장문을 내고 '자치분권 개헌'과 더불어 '부울경 광역철도 건설'을 21개 주요 과제에 포함한 바 있다. 양산시를 비롯한 지역 정치권에서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해온 한국개발연구원(KDI)을 방문해 조속한 사업 추진을 건의하기도 했다.
부울경 광역철도는 남부내륙철도, 부전∼마산 복선전철, 양산도시철도(양산선), 부산도시철도(1·2호선, 정관선), 울산도시철도(1·2호선), 동해남부선 등과 연계해 경부울지역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어내 광역경제권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와 함께 경남·부산·울산 3개 시도는 지난해 12월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간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건설' 역시 공동대응할 방침이다.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는 사업비 3조 12억 원을 투자해 김해 진영, 양산 북정·물금을 거쳐 경부고속선 울산역까지 연결하는 총 길이 54.6㎞ 노선이다.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는 부울경 광역철도와 함께 가덕도신공항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으로, 경부울 초광역 경제동맹을 뒷받침할 핵심 기반시설로 주목받고 있다.
/이현희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