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절 맞아 이주민 정주화 정책 등 요구
경남 이주민이 5월 1일 노동절을 맞아 이민전담기구 설립을 촉구했다.
경남이주민센터와 지역 14개 각국 교민회 대표자 모임인 경남이주민연대회의는 1일 성명을 냈다. 이들은 “한국인이 빠져나간 일터에서 우리 이주노동자들은 최저임금을 받으며 위험한 작업을 하고 있다”며 “이주노동자들은 한국 사회의 노동 분야에서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외국인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남이주민센터에 따르면 대한민국 미등록 초과체류자는 역대 최다로 42만 명을 넘었다. 정부는 미등록 초과체류자 단속, 자진 출국 인센티브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구제책은 미비한 실정이다.
경남이주민센터, 경남이주민연대회의는 “정부는 외국인을 언젠가 떠날 노동자로 보고 비전문 단기취업 중심 정책을 펼쳐왔다”며 “이제는 차가운 법무부 중심이 아닌 외국인 정책을 도맡는 이민청을 설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주민들은 △이주민 숙련인력 양성·정주화 정책 △이민전담기구 설립 △미등록 장기체류자 합법화 △이주민 고용허가제 독소조항 철폐 등을 요구했다.
/안지산 기자
관련기사
관련기사
키워드
#경남
안지산 기자
san@idomin.com
시민사회부에서 창원중부서, 창원서부서, 노동, 여성, 교통, 창원대, 이주민, 농민을 맡고 있습니다.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