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창원병원 박용환 교수 등 4명연구 결과·논문 세계 의학계 주목

삼성창원병원 순환기내과 박용환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한주용·송영빈·최기홍 교수가 함께한 연구팀이 심혈관 사건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아스피린보다 클로피도그렐이 장기 항혈소판 치료제로서 더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미국이 주도한 치료 지침을 바꿀 정도로 중요한 연구 결과다.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은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관상동맥질환 환자가 평생 챙겨 먹는 약이다. 현재 미국 치료 지침은 PCI 후 6개월에서 1년 동안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클로피도그렐 포함)를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DAPT)를 권장하고, 이후에는 평생 아스피린을 단독으로 복용하라고 안내한다. 이에 연구팀은 심혈관 질환에서 아스피린보다 클로피도그렐이 더 나은 효과를 보인다고 밝혀낸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를 담은 논문은 세계 최고 권위의 의학 학술지 <란셋(Lancet)> 최근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각)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심장학회(ACC) 연례 학술대회 현장에서 '가장 주목 받는 임상 연구(Late-Breaking Clinical Trial)'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연구(SMART-CHOICE 3)는 2020년 8월부터 2023년 7월 사이 국내 26개 의료기관에서 PCI 시술을 받은 환자 5506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 결과 클로피도그렐을 복용한 환자는 아스피린을 복용한 환자보다 사망·심근경색·뇌졸중 등 주요 복합 평가 항목 발생 위험이 2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서후 기자 who@idomin.com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