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자동차 관세 경남 영향은]
3일 수입산 자동차에 25% 부과 예정
자동차 수출액 85%가 미국에 의존
완성차 시장 피해 상당 분석도
도내 부품제조 수출업체 대응 난감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3일부터 부과하기로 한 가운데 피해가 우려되는 경남 자동차 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다만, ‘철수 우려’가 제기됐던 한국지엠은 오히려 ‘큰 문제 없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읽히고, 부품을 만들어서 납품·수출하는 업체는 자체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가 제한적이어서 촉각만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일부터 수입자동차와 주요 부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에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관세 부과를 강행하겠다는 뜻이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국내 대미 자동차 수출이 매우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섞인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미국 의존도 높은 경남도 타격 불가피 =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미 보편관세가 국내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미국이 25%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나라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18.59%나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 통계청 집계 기준 경남 도내 자동차산업 기업체 수는 2673개로 전국 1만 6346개의 16.2%를 차지한다. 경기도에 이어 전국 2위다. 종업원 수는 4만 1351명, 총매출액은 19조 1708억 원이다.
2024년 기준 도내 자동차 총수출액은 36억 5000만 달러(약 5조 3700억 원)다. 이중 미국 수출액은 31억 1500만 달러(약 4조 5800억 원)로 전체에서 85.3%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캐나다 2억 8500만 달러(7.8%), 멕시코 1억 600만 달러(2.9%), 러시아 3500만 달러(0.9%) 순이다.
또 자동차부품 총수출액은 23억 3600만 달러(약 3조 4700억 원)다. 이중 미국 수출액은 7억 9800만 달러(약 1조 1700억 원)로 34.1%를 차지한다. 멕시코 4억 4000만 달러(18.8%), 중국 2억 300만 달러(8.7%), 브라질 1억 5700만 달러(6.7%), 일본 1억 200만 달러(4.3%) 순으로 뒤를 잇는다.
지난해 기준 한국지엠은 부평·창원에서 49만 4072대 생산해 이중 84.8%인 41만 8782대를 미국으로 수출했다. 이처럼 한국지엠은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아 대응책 찾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공장 철수 우려도 제기됐다.
그러나 최근 한국지엠 경영진과 함께 미국 GM 본사에 다녀온 안규백 민주노총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장은 최근 〈참여와혁신〉과 인터뷰에서 한국지엠 생산 물량을 줄이거나 공장을 폐쇄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부평공장에서 생산하는 트레일블레이저, 창원공장에서 생산하는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인건비가 비싼 미국에서 소형차를 생산하기에는 단가를 맞추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국지엠 창원공장 노조 관계자는 “당장 결정된 사항은 아무것도 없고, 내부적으로는 계속 확인 중”이라고만 밝혔다.
◇마땅한 대응책 없는 부품업체 = 자동차 부품을 제조 납품·수출하는 중견·중소업체는 자체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아서 동향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도내 한 부품 제조사는 미국 관세 정책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큰 만큼 수출 담당 관세 법인·현지 통관사와 연계해 미국 세관(CBP)의 최신 동향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이 업체 관계자는 “관세가 실제 발효되었을 때를 대비해 영향 가능성이 있는 제품을 사전에 분류하고, 고객사별 관세·판매가격 연동 협의가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부품업체 관계자도 “완성차업체에는 타격이 있겠지만 부품사는 사실상 뚜렷한 대비책이 없어서 현황 파악하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조금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론을 펴는 이들도 있다.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독일, 일본 등 다른 나라에도 고율 관세를 매기기 때문에 미국 내 소비자 부담만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역 경제계 한 관계자는 “미국 외 모든 국가에 수입 자동차 관세를 일괄적으로 부과하는 조치는 담세자인 미국 내 소비자의 부담만 가중시키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남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을 준비 중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4월 정부에서 자동차산업 비상대책을 마련할 때 완성차뿐 아니라 부품업체도 대책안에 넣어 지원해줄 것을 건의하고, 단기적으로 운전자금 지원 등 피해기업들이 유동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재영 기자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