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마가 전국을 덮쳤다. 각 지역에서 산림청, 소방청, 각 지자체의 산불 진화 요원들과 공무원들이 수천 명 동원돼 진화 작업을 하고 산불 진화 헬기도 총동원해 진화에 가세하고 있다. 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한 산불이 김해(25일 진화), 경북 의성, 울산 울주, 김해, 충북 옥천 등 전국 동시다발적으로 번졌다. 건조한 서풍으로 백두대간 동쪽인 강원 영동과 경상도 그리고 이에 인접한 충청도와 전라도 일부 시군에 건조 특보가 발효 중인 데다, 강한 바람까지 겹쳐 진화에 애를 먹고 있다.
정부는 지난 22일 경남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데 이어 산불 피해 지역인 의성군, 울주군, 하동군 3곳을 24일 추가로 지정했다. 하지만 산불 진화 대원 4명이 안타깝게 희생되고 중상 5명 등 부상자가 발생하는 등 화재 피해는 점점 커지고 있다.
진화율은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불길이 잦아들다가 다시 강한 바람으로 말미암아 번지는 경우가 많아 안심할 수 없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3%가 산악지형인 데다가 삼림까지 울창해 고온 건조한 날씨에는 산불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올해는 겨울 기후가 계속 건조해 1월부터 3월 24일까지 발생한 산불이 23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0건과 비교하면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이번처럼 전국 동시다발적 대형 산불이 일어나자 지자체나 정부의 산불 진화 기관들이 제대로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됐다. 전문 진화인력 양성이 절실하다는 사실과 소방헬기를 포함한 진화 장비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체계도 시급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산불 예방과 진화에 관한 업무에 종사하는 인원들이 산림청, 소방청, 지자체에 나뉘어 있는 경우 산불이 발생했을 때 집중적으로 통제·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기 어렵다.
그뿐만이 아니라 대형 산불에 대응할 수 있는 사전 준비 체계를 형성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무엇보다 범정부적 차원의 중앙관리 시스템이 꼭 필요하다.
관련기사
잠깐! 7초만 투자해주세요.
경남도민일보가 뉴스레터 '보이소'를 발행합니다. 매일 아침 7시 30분 찾아뵙습니다.
이름과 이메일만 입력해주세요. 중요한 뉴스를 엄선해서 보내드리겠습니다.
